음식물이 목에 걸렸을 때 의식이 있을 때 1. 환자에게 기도(숨)가 막혔느냐고 물어보세요. 기도가 폐색된 상태라면 엄지와 검지로 목을 잡는 일반적 구조요청신호 자세를 보이게 됩니다. 2. 환자가 말을 할 수 있거나, 숨을 쉬거나, 기침을 할 수 있다면 스스로 이물질을 뱉어내 도록 하는 노력을 방해하지 맙시다. 3. 스스로 뱉어내지 못하면 이물질이 나올 때까지 복부 밀기를 실시하세요. 4. 환자 뒤에 서서 환자 허리둘레를 두 팔로 감싸 안으세요(하임리히법). 한쪽 주먹을 다른 한손으로 감아쥐고, 안쪽 손은 엄지 쪽이 신체 정중선 배꼽 바로 위로 가게 하세요. 안쪽 손을 환자 등 뒤와 위쪽으로 빠르게 밀어 주세요. 복부 밀어주기는 기도폐색을 해소할 만큼 충분한 힘으로 실시하세요. 5. 만약 환자가 임신후기이거나 비만이라면 가슴 밀어주기를 실시하세요. 환자 등 뒤에 서서 두 팔을 환자 겨드랑이 밑으로 넣어 가슴을 안으세요. 복무 밀어주기 때와 마찬가지로 한쪽 손은 엄지 쪽을 안쪽으로 하고, 다른 손으로 감싼 다음 환자 흉골 위에 놓으세요. 등 쪽으로 빠르게 밀어 주세요. 의식이 없을 때 1. 환자 머리와 목을 조심스럽게 지지하여 등을 돌려 눕히세요. 기도가 폐색된 상태라면 엄지와 검지로 목을 잡는 일반적 구조요청신호 자세를 보이게 됩니다. 2. 환자의 입을 벌려 입안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세요. 3.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들어 올려 호흡을 확인하세요. 4. 숨을 쉬지 않으면 구강 대 구강호흡법을 실시하세요. 5. 만약, 환자의 가슴이 올라가지않으면,환자자세를 수정한 다음 호흡을 다시 불어 넣으세요 6. 이번에도 가슴이 올라가지 않으면 흉부압박을 15회 실시하세요. 호흡, 기침 또는 움직임이 있으면, 환자가 스스로 호흡을 할 때까지 구강 대 구강법으로 1분에 12~20회 공기를 불어넣어 주세요. 7. 가슴밀기를 위한 손 위치는 심폐소생술 실시 때의 손 위치와 동일해요. 8. 입안을 확인하고, 이물질이 있으면 제거하세요. 9. 기도를 열어주고 호흡을 확인하세요. 10. 기도를 폐쇄했던 이물질이 나올 때까지 6번에서 9번까지 절차를 반복하세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댓글 댓글입력 로그인 이름 비밀번호 내용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회원 로그인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 최신순 추천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