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농기계 안전사고 예방요령
 의방
 2007-10-16 13:25:34  |   조회: 1779
첨부파일 : -
농기계 안전사고 예방요령


공 통 사 항
1. 농작업 전ㆍ후에는 반드시 점검정비를 하자!

점검ㆍ정비 시에는 반드시 엔진을 정지합시다.
이상 발견 시에는 정비할 때까지 사용하지 맙시다.
정기교환 부품은 시기에 맞추어 교환합시다.
안전장치는 제 위치에 부착하고 떼어내지 맙시다.
2. 농작업에 적합한 복장과 보호구를 착용하자!
헐렁하거나 소매가 긴 옷은 입지 맙시다.
미끄럼 방지 처리된 안전화를 착용합시다.
긴 머리카락은 모자 속에 넣거나 묶읍시다.
3. 농작업 중에는 적절한 휴식을 취하자!

하루 작업시간은 8시간을 넘기지 맙시다.
서두르지 말고 2시간 마다 휴식합시다.
작업 집중이 안 될 때는 충분한 휴식을 취합시다.
4. 논ㆍ밭 출입은 안전하게 하자!

출입로는 완만한 경사와 적절한 폭을 유지합시다.
이동시에는 속도를 낮추고, 후방 작업기가 무거울 경우 앞쪽에 밸런스웨이트를 장착합시다.
논둑을 넘을 때는 직각방향으로 진행합시다.


5. 운전석 주변은 항상 청결하게 하자!

좌석과 후사경은 운전자에 알맞게 조정합시다.
안전캡의 유리창은 항상 깨끗하게 유지합시다.
운전석 바닥에 공구나 부품 등을 두지 맙시다.
6. 등화장치 작동으로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자!

방향지시등, 후미등, 비상등, 야간 반사판 등을 반드시 부착
등화장치의 작동상태는 수시로 점검하고 무논작업 후에는 반드시 청소
트레일러에 짐을 실을 때는 뒤에 오는 운전자가 등화장치를 볼 수 있도록 과다하게 적재하지 말 것
야간 또는 악천후에는 반드시 등화장치를 작동하고 감속하여 운전
야간에 도로변에 가급적 주정차를 삼가고 주정차를 할 경우에는 반드시 비상등을 켤 것
7. 음주운전은 절대 않는다!

음주운전은 자신은 물론 타인까지 파괴시키는 사고의 주범임을 명심
음주운전은 침착성과 판단력을 저하시키고 위급상황에서 신속한 반응을 어렵게 하여 대형사고를 유발시킨다는 것을 명심
8. 교차로에서는 반드시 신호를 지킨다!

교차로에서는 속도를 낮추고 일단 정지
출발 시 전후, 좌우의 교통상황을 잘 살피고 안전을 확인한 다음 천천히 출발
9. 동승자를 태우지 말자!

동승자는 운전자의 시야 또는 레버조작을 방해하여 사고를 유발시킨다는 것을 명심
동승자가 있을 경우 급정지ㆍ급회전시에 밖으로 튕겨나갈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
10. 농기계 작동시에는 화상에 주의하자!

운전 중에는 라디에이터 캡을 열지 말 것
엔진 점검정비는 엔진이 식은 다음 할 것
고열이 발생되는 소음기 등에는 접촉하지 말 것

경운기ㆍ관리기
1. 이동시에는 작업기의 동력을 끊을 것

2. 회전부에 신체를 접촉하지 말 것

3. 조항클러치는 저속주행 또는 논ㆍ밭에서 작업할 때만 사용

4. 조항클러치도 짧게 여러번 조작하여 선회

5. 내리막길에서 조항클러치는 평지와 반대로 작동한다는 것을 명심
6. 후진을 할 때는 핸들을 누르면서 천천히 클러치를 연결하고 저속으로 운전

7. 짐을 실을 때는 뒤에 오는 차량운전자가 등화장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재

8. 방제작업 등 여성 보조자가 필요한 경우 조작방법 및 안전사항을 충분히 교육시킬 것

트 랙 터
1. 타고 내릴 때는 작업화의 진흙을 제거하고, 승차용 계단과 손잡이를 이용

2. 안전 캡 또는 프레임을 장착할 것

3. 작업기는 평탄하고 단단한 바닥위에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한 다음 착탈할 것

4. 도로 주행시에는 좌우 브레이크 페달을 반드시 연결할 것

5. 경사지에서 등고선 방향으로 작업할 때는 하중이 큰 쪽을 위쪽으로 향하게 할 것
6. 급경사지에는 가능한 한 주정차를 하지 말 것

콤 바 인
1. 콤바인을 차량에 싣거나 내릴 때 사다리 길이는 차량 적재함 높이의 4배 정도 되게 하여 안전한 경사를 확보

2. 막힌 짚을 제거할 때는 반드시 엔진을 정지

3. 체인, 양곡기 등에 쌓여 있는 검불은 화재 예방을 위하여 수시로 제거

4. 논둑을 넘을 때는 직각방향으로 운전

5. 논머리에서 베어낸 벼를 탈곡할 때에는 콤바인을 정지시키고, 한꺼번에 많이 투입하지 말 것
이 앙 기
1. 모판 보급은 이앙기를 정지시킨 후 할 것

2. 장거리 이동은 트레일러 등에 싣고 안전하게 할 것

3. 발판이나 신발의 진흙은 수시로 제거

휴대형 예취기
1. 작업 전에 병, 돌 등 이물질을 제거

2. 반드시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작업

3. 작업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하고, 작업 반경 15㎝이내에는 타인이 접근하지 않도록 할 것

3. 제초날을 톱 대용으로 사용하지 말 것


사고발생시 행동요령
1. 가장 먼저 119로 연락

2. 이때, 응급환자의 상태를 자세히 말하고, 지시내용에 따라 응급처치를 하는 것이 좋음

※ 정확한 응급처치는 병원 전 단계에서 환자의 생명을 보존하거나 상태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지만 부적절한 응급처치는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음
3. 골절상을 당했을 경우

먼저 심한 출혈을 멈추게 한 후
환자가 불필요하게 움직이는 것을 막아야 함
골절부분의 고정은 부상부위의 위, 아래 관절을 포함하여 가능하면 길게 대어야 함
4. 화상을 당했을 경우

10분 이상 화상부위를 흐르는 찬물 속에 넣어 진정
화상 부위의 상처가 부풀어 오르기 전에 반지, 시계, 벨트 또는 꽉 끼는 옷을 조심스럽게 제거
상처부위는 깨끗하고 가능하면 멸균 처리된 보푸라기가 없는 거즈로 덮어야 함
물집은 터뜨리지 말고, 화상부위에 딱 붙어 있는 물질들은 떼어내지 말 것
로션을 바르거나 연고, 기름 같은 것도 바르지 말 것
환자를 빨리 병원으로 옮겨야 함
2007-10-16 13:25:34
211.252.203.18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