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한해
 의방
 2008-01-21 12:49:09  |   조회: 1711
첨부파일 : -
한 해(旱害)





물부족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재난으로 무강수 기간이 계속되어 토양수분이 부족하게 되는 경우 생리적으로 세포의 수분이 결핍되어 생육이 억제되거나 고사하는 피해이다.

1. 한해의 종류


일반적으로는 농작물의 피해를 가리키지만, 상수도나 공업용수의 부족, 발전능력의 저하 등에 의한

생활상·산업상의 불이익도 넓은 뜻의 한해에 포함된다. 토양수분이 식물·지면으로부터의 증발산되는 양의 최대값인 증발산위와 강수량과의 차가 물의 부족량 또는 잉여량이므로 온대지방에 있어서는 증발산량이 큰 여름에 발생하기 쉬우며 6∼7월에 많이 일어난다. 한국에서는 이 한발로 모내기가 늦어지고 밭이 마른다. 한해는 작물의 종류·품종 등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며, 뿌리가 깊이 들어가지 않는 작물은 특히 심하므로 이러한 작물을 재배할 경우에는 파종시기의 조절 등으로 피해를 줄이도록


한다.



2. 한해의 피해사례 및 방지대책


한발도 거의 같은 뜻이나, 한발은 난후기의 농작물 한해를 말하는 경우가 많다.


옛날에는 주로 농업재해만을 의미하였으나, 최근 농업재해는 관개의 발달로 차츰 적어지고 있으며, 도시발전에 따른 수력발전 용수나 음료수의 부족 때문에 발생하는 재해가 늘어나 갈수재해라고 하는 경우도 많다. 난후기에는 20일 이상 비가 오지 않으면 한해가 발생하는데, 큰 강이나 하천에서는 각종 용도에 적절히 배분할 수 있도록 댐 조절을 통한 종합관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지하수의 보수능력이 적은 도서에서는 바닷물이 음료수에 많이 섞여 주민들의 고혈압증이 증가하는 등 한해가 심각한데 이를 막기 위해 다른 섬에서 배나 해중파이프로 물을 보내기도 하고 해수의 담수화를 꾀하기도 한다. 농작물이나 과수인 경우에는 완전히 말라죽지 않는다 하더라도 수확량의 저하나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도 많다.
2008-01-21 12:49:09
211.252.203.18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