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다중지능 연재 2
 다중지능연구소 센터
 2009-09-29 13:41:51  |   조회: 1163
첨부파일 : -
1. 검사의 신뢰성
- 공신력 : 이 검사는 다중지능검사에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검사로 미국의 쉬어러 브랜튼 박사와 다중지능 연구소가 협약을 맺어서 한국어로 번역한 검사이다.
-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 절대평가는 100점 만점의 내용 위주로 만들어진 평가를 말하고, 상대평가는 전체 평균을 고려해서 점수를 새로 부여하는 방식을 말한다. 절대평가는 과거의 학력고사처럼 맞는 개수에 따라 점수 그 자체를 제공해 주는 평가를 말하고, 상대평가는 최근 수능 점수에 도입되는 t점수, 혹은 표준점수를 의미한다.
- 신뢰성 : 전 세계 40여개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석,박사의 논문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자료이다. 석,박사의 논문에서 신뢰성이 입증되었다. 평균점으로 표준화된 검사법이 존재한다.
- 타당성 : 묻고자 하는 것을 정확하게 질문하는가에 달려있다. 그런데 이 검사는 표준화 과정을 거치면서 불필요한 질문을 없애는 과정을 수없이 하여 결국 평균인 T점으로 묻고자 하는 것을 정확하게 묻는 표준화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것들이 타당성을 입증한다.
- 실제 지금까지 표준화 과정을 거친 검사법은 하나도 없다. IQ도 표준화 작업을 거치지 않은 검사법이었다.
- 전통적인 학업성적 중심의 IQ로는 개인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것, 즉 적성이 제대로 검사되지 않았기 때문에 적성검사가 따로 이루어졌는데, 다차원적인 지능 개념인 다중지능이 대두되면서 개인이 가지고 있는 발달 가능성과 다양성을 설명할 수 있게 되었고 적성검사의 필요성이 없어졌다.

2. IQ 와 다중지능의 비교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구분 // IQ // 다중지능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주창자 // 알프레드비네(프) // 하워드 가드너(미)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탄생배경// 열등한 사람 선별용 // 지능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
으로 단일지능에 대한 비판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측정대상 // 기억력,이해력,추리력,계산력 등// IQ + EQ + 음악, 신체운동, 자아
성찰능력 등 8가지 지능영역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특징 // 사회적,정서적인 능력 측정불가 및 지능 서열화에 따른 부작용 유발 // 인간의 지적능력에 대한 폭넓은 이해 및 개인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지적 능력 계발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 다중지능의 목적
희망을 발견하고 비전을 세우자.

TEL. 055-642-8811 (김행선)
2009-09-29 13:41:51
221.152.196.98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