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것이 교통안전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교통사고 발생률은 OECD 회원국 중 단연 1위다.
그 원인이 어디에 있을까, 첫째는 국민안전 의식 부족이며 둘째는 미비한 교통시설, 세 번째는 도로주행, 운전자 예절교육 등 운전자교육체계 문제점이다.
우리나라 국민 대다수는 원칙에 충실하지 않다는 게 문제다. 그러다보니 신호등도 무시하기 일쑤며 보행자우선 보다는 차량우선의 운전습관이 몸에 베였다.
여기에다 일방통행도 무시하다 사고를 내는 경우도 허다하다. 더구나 최근에는 미숙한 운전에도 불구 아무 곳에서나 끼어들기, 교통법규 무시 등을 예사로이 자행하는 ‘김여사의 돌발 행동’도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오죽했으면 ‘김여사’라는 유행어가 탄생할까. 교통전문가 74%가 자동차운전전문학원을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철저한 안전운전, 운전자 예절교육 등이 배제된 채, 어설프게라도 차만 몰고 정해진 코스만 제시간에 통과하면 면허시험은 합격이다.
때문에 운전면허시험 전체를 국가나 주정부가 직접 관리, 운영하는 OECD 국가들에 비해 우리나라 운전학원 출신들의 운전능력은 현저하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또 지역 여건 등을 고려하지 않은 각종 교통시설도 문제다. 그간 우리사회는 교통시설의 투자방향을 주로 경제발전전략과 연계해 추진하다 보니 보행자를 위한 편리에는 크게 신경 쓰지 않았다. 이는 오늘날 인간의 생명과 재산을 한꺼번에 앗아가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교통사고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한 해 평균 10조4,000억원(물적피해비용 5조6,000억원. 인적피해비용 3조9,000억원. 사회간접비용 9,000억원)에 이른다는 통계만 봐도 국가적으로 얼마나 큰 손실인지를 짐작할 수 있다. 밝은 사회, 미래지향적 사회는 모든 인간이 갈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제 우리의 잘못된 사고를 고치는데 인색하지 말아야 할 때다. 우리의 인식을 바로잡지 않으면 그 여파는 우리의 다음세대로 이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 정부는 일시적이고 단편적이고, 전시 행정적인, 그리고 땜질식이었던 그간의 교통정책 방향을 이제는 풍요한 복지사회 창조의 시각으로 전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