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전주시가 지난 2월27일 그 지역 대형업체들의 지역사회 기여를 위한 조례를 제정, 시행하면서부터 수많은 지자체들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이 조례는 ‘대형마트 지역기여도 권고 조례’로 해당업체는 직원 70% 이상을 현지서 채용하고 일정량 이상의 지역상품을 매입, 판매토록 한다는 것이며 특히 현금 매출액은 일정기간 지역 은행 등에 예치 후 송금을 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송하진 전주시장은 “업체들이 실질적으로 지역을 위해 기여할 수 있도록 공적기능 강화를 유도하는 등 지혜롭게 조례를 운영해 나가겠다”고 밝혔고 전주시는 해당업체들과 이행협약을 체결하고 이의 준수여부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한편 그 결과도 공개할 수 있게 한다는 방침이다. 전주시의 이 같은 조례는 지역의 성장 토대가 될 수 있다는 차원에서 크게 반길 일이다.
더구나 대우, 삼성 등 양대 조선소를 비롯 중,대형 조선산업 협력업체 및 백화점, 홈플러스 등 대형업체들이 많은 거제시로서는 이 같은 조례 제정을 예사롭게 넘길 일이 아니다.
그런데 실상 지역에 뿌리내리고 있는 일부 업체는 지역민이나 지자체 행정조차 외면하는 상태다. 특히 디큐브 백화점은 무슨 권한이 그렇게도 대단한지 ‘툭 하면 내 권한’을 내세워 거제시 행정이 주관하는 행사까지 방해하는 상태다.
또 백화점 아래층에 위치한 홈플러스 거제점은 전국 108개 홈플러스 중 매출이 꾸준히 톱10 안에 들면서도 지역 기여도는 사실상 제로 상태다. 이들 업체를 두고 ‘돈은 거제에서 벌면서 지역기여도는 낮다’는 장평동 주민들 원성이 높은 게 사실이다.
지역 업체는 그 곳 지자체 행정 및 주민들과 상생하는 자세가 가장 우선이어야 한다. 그런데도 지역 업체들이 지역을 외면한다면 가장 서둘러야 할 것이 지역기여 조례제정이 아닐 수 없다.
이 조례가 제정되면 지역인재 채용할당은 물론, 장학기금 조성, 비정규직 처우개선 완화, 거제사랑 상품권의 지속적인 활용 등 업체들의 지역사회 기여는 자연스럽게 이뤄질 수 있다.
특히 이 조례를 제정, 시행하는 데는 공·사익 관련 조화 문제, 법적인 문제 등이 있을 수 있고 한편으로는 “우리가 벌어 우리의 회사 방침대로 자금을 운용하는데 웬 간섭이냐”는 식의 업체들 반감도 살 수 있다.
때문에 거제시는 이 조례를 검토하기 전에 현지 벤치마킹 등 좀 더 발 빠른 대처가 요구될 수밖에 없다. 거제시행정의 전향적 대응을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