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 경남도당 당기위원회는 당규 절차에 따라 지난 13일 민노당 비례대표로 선출, 거제의회 의원으로 활동중인 박명옥 의원의 당적 제명을 결정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박 의원은 민노당 제명에도 불구 의원직을 유지하게 됐다.
민노당측은 “박 의원의 경우 2008년 대규모 탈당사태 이후 책임과 의무를 소홀히 해왔다”고 지적하고 “이런 행동들이 달라진 자신의 정치적 신념 때문이라면 공식적으로 탈당하고 비례대표 의원직을 반납하는 것이 민주노동당과 유권자들에 대한 당연한 도리일 것이나 지난 1년 수개월 동안 박 의원은 자신의 행동과는 달리 민주노동당 당적을 보유한 채 비례대표 의원직을 유지해 왔으며 이런 상황들은 정치인 박명옥 의원의 신뢰성과 민노당의 규율과 명예, 그리고 유권자들에 대한 책임과 약속이라는 측면에서 많은 실망과 비판을 낳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민주노동당 거제시위원회는 “박 의원은 더욱 성실하고 적극적으로 의정활동을 해 줄 것을 간곡히 당부한다”고 밝히고 “이는 진보적 정치신념을 가진 기초의원으로서의 기본적인 책임일 뿐만 아니라 비례의원을 있게 한 민주노동당 지지 유권자들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임을 유념해 주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비례대표로 선출 된 지방의원의 경우 소속 정당을 탈당할 경우 자동적으로 의원직을 상실하게 되지만 당에서 제명처분을 내릴 경우 의원직이 유지된다.
때문에 이번 민주노동당의 박 의원 당적 제명은 ‘전략적 제명’이라는 여론도 비등한 상태다.
한편 박 의원은 지난 16일 ‘민주노동당 당적 제명에 대한 입장’ 발표에서 “비록 정치적 성향으로 또 지역의 여러 가지 친분으로 진보신당을 지지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민주노동당과 이념적으로 어떠한 차이점도 발견하지 못했다”면서 “이는 어디까지나 중앙당 차원의 분당으로 유발된 부득이하고 특수한 상황”이라고 했다.
또 그녀는 “의원직을 유지하면서 부득이 당무에 협력하지 못하고 독자적인 활동을 할 수밖에 없었다고 술회하고 “이러한 고충을 헤아려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참으로 어렵고 고뇌에 찬 결정을 내려 준 민주노동당 거제시위원회에 머리 숙여 감사드리지 않을 수 없다”고 밝히고 “거제시 의회 첫 여성의원으로서의 책무를 다하기 위해 내년 6월 지자체 선거에 도전할 의사를 갖고 있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