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답은 ‘문화’다.
거제시는 2003년 일운면 소동리에 ‘문화마을’을 조성해 “문화와 관광과 체험이 공존하는 농촌마을의 모델을 만들겠다”며 대대적 홍보를 하며 첫 삽을 떴다.
국비ㆍ시비 40여억원을 투입한다고 당시 시가 발표했다. 농촌공사에 따르면 36억여원이 들어갔다.
거제시는 소동마을 국도변 위쪽과 소동천 인근 부지 78,519㎡를 협의 수용한 후 문화마을 조성공사를 농촌공사 고성지사에 위탁했다. 농촌공사 고성지사는 2003년부터 문화마을 조성사업을 시작, 2007년 조성을 끝냈다. 이 중 3,084㎡ 8필지는 주택지로 분양했고 나머지는 도로, 공원부지 등으로 조성했다.
조성사업 당시 마을 주민들은 ‘문화마을’이라는 고품격 어휘에 큰 기대를 드러내면서 평당 710,000원으로 협의 수용에 응했다. 거제시와 농촌공사는 소동 ‘문화마을’ 조성 사업은 지난 2008년 “마무리됐다”고 밝히고 있다.
사업이 끝난 2009년 6월 현재 소동 ‘문화마을’은 문화, 체험, 농촌관광 등 당초 사업 취지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평범한 농촌마을 그대로 남아 있다. 국비, 시비 40여억원이 투입됐는데도….

소동마을 김모씨는 “문화마을 조성이라 거창하게 이름붙이고 막대한 예산까지 투입하며 왜 했는지 모르겠다. 전시행정의 표본 아니냐”고 말했다.
“회색 판넬 조립식 형태로 된 3층짜리 조선협력업체 기숙사까지 문화마을 부지에 건축 허가가 나 덩그러이 지어져 있다. 이게 시가 말하는 문화마을이냐”고도 덧붙였다.
거제시 관계자는 “농림부 사업으로 시작됐지만 잘 되지 않아 지금은 중단된 사업이다. 농촌 중심마을을 지원해 생활환경을 정비하고 관광, 체험, 소득증대를 함께 추구한다는게 당초 사업취지였다. 문화와는 관계가 없다. 이후 운영, 관리에 대한 계획도 없다”고 말했다.
조성사업을 수행했던 농촌공사 관계자는 “사업취지대로 안된 것은 사실이다. 거제시로부터 조성공사를 수탁해 공사를 마무리했고 거제시로 소유권을 넘겼다. 우리는 공사만 했기 때문에 사업취지에 맞는지 아닌지는 우리가 판단할 사항이 아니다”고 말했다.
거제시 허가과 관계자는 “사업목적과 취지가 무엇인지 우리로서는 알 수 없다. 건축허가 요건에 맞으면 허가를 줄 수밖에 없다. 건설과로부터 사업취지관련 협조 요구 등도 없었다”고 말했다.
일운면 소동마을 소동교 앞에는 ‘소동문화마을’이라는 ‘표지판’이 아직도 선명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그러나 국비, 시비 40여억원 투입의 ‘목적 부합적’ 성과는 보이지 않는다. 표지판과 현상의 극심한 언밸런스다. 예산 낭비의 한 사례로도 지적되기에 충분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