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적 목시조사 및 관광타당성 연구 착수 계획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임광수) 고래연구소는 지난달 12일부터 19일간 시험조사선 탐구9호와 탐구10호(26 G/T)를 이용, 남해 내만을 주 대상으로 상괭이의 서식현황 연구를 위한 사전조사를 실시했다.
상괭이는 페르시아만에서 극동에 이르는 아시아 대륙의 연안에 서식하는 최대 체장 약 2.1m의 소형 돌고래류다.
주로 연안활동이 많은 내만에 서식하고, 일본 큐슈연안에 3,000마리, 홍콩 연안 200여 마리 등 그 외는 조사되어 있지 않아 국제적 멸종위기종으로 취급하고 있다.

최근 우리바다의 상괭이는 울산연안에 지속적으로 출몰할 뿐만 아니라 2008년 남해안에서 360여 마리가 혼획되는 등 국제적 관심을 받고 있어 조사에 착수한 것.
이번 사전조사에서 통영과 목포사이의 내만과 섬 주변 836해리를 항해한 결과 총 158무리 276마리의 상괭이를 관찰됐고 남해안 외해 보다는 내만과 섬 주변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래연구소는 향후 분포량 추정과 자원평가를 위해 체계적 목시조사를 수행 예정이며, 관광자원화 타당성 연구도 병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거제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