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6일 오후 2시30분께 동부면 학동 몽돌해수욕장 앞 300m해상에 몸길이 3.1m 크기의 귀상어 두 마리가 출몰, 해경이 피서객들을 대피시키는 등 소동을 빚었다.
통영해양경찰서는 즉각 경비정과 순찰정을 학동 해상에 파견, 상어 퇴치작전을 벌이는 한편 안전을 위해 피서객들을 통제, 해수욕을 하지 못하도록 조치했다.
해경은 "날이 어두워질 때까지 퇴치작전을 펼쳐 이들 상어가 시야에서 사라지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들 상어 중 한 마리는 27일 오전6시30분께 수산마을 인근에 설치된 이정호씨(62)의 정치망에 걸려 채포(採捕)됐다.
이씨는 이 상어를 거제시에 기증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시는 이를 박제화 해 어촌민속전시관에 전시할 계획이다.
해경은 잡히지 않은 나머지 한 마리 상어의 갑작스런 출몰에 대비, 해상 순찰 등 경계의 끈을 놓치지 않고 있다.
이번 학동 해상에 출몰한 귀상어는 무리에서 이탈, 난류를 타고 먹이를 찾아 이곳 해상까지 출현한 것으로 보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자원연구과 김정년 박사는 “귀상어는 다소 성질이 포악하다"고 지적하고 “해수욕객의 안전을 위해 철저한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김 박사는 “지난 2월과 3월, 남해안과 동해안에서 상어 중 가장 성질이 포악한 백상아리(죠스)가 잇따라 출현했던 점을 상기, 올 여름 해수욕장마다 특별한 안전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부산시는 올 여름 상어 출현을 우려, 호주에서 ‘상어 퇴치기’를 들여와 해운대 해수욕장 인근 해상에 설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통영해경은 학동 몽돌해수욕장 인근 해상에서 27일 오전 내내 상어의 모습이 발견되지 않자 안전관리요원을 해수욕장 곳곳에 파견, 상어의 출몰에 대비하는 한편 27일 정오부터 피서객들의 입수를 허락했다.
귀상어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