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제시종합터미널이 연초면에 들어서는 것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거제시는 지난 1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거제시 종합터미널 입지선정 타당성조사용역 2차 중간보고회를 갖고 연초면(사진 원내)에 터미널을 건설하는 것으로 잠정결론 내렸다.
연초면과 함께 거론되던 상동지역은 학교정화구역과 국도대체우회도로 진출입로 등의 문제점과 함께 대단위 공동주택이 밀집해 있어 각종 민원에 대한 우려가 높은 상황이라고 시 관계자는 전했다.
이날 중간보고회에 참석한 시의원들은 종합터미널 적정부지 면적과 부지매입가, 농업진흥지역인 해당 지역을 상업지역 포함한 용도지역 변경 가능 여부, 민자유치 등의 건설방식 등에 대한 대처방안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차 용역보고에서 밝힌 적정부지면적은 고속·시외버스터미널 1만㎡, 시내버스공영차고지 1만6,500㎡, 화물자동차공영차고지 1만6,500㎡를 합쳐 4만3,000㎡(1만3,000평)으로 계획했으나, 검토대상 부지 면적은 이보다 더 늘어날 전망이다.
현재 계획된 종합터미널은 인구 30만 기준. 그러나 거제시의 인구가 40만을 넘을 수도 있는데다 한번 도시계획시설이 결정되면 변경하기 힘든 만큼 애초부터 더 넓은 부지를 확보하는 것이 낫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시 관계자는 “종합터미널 외에도 상업시설, 녹지공간, 공원, 주유소 등이 들어갈 경우 터미널 부지면적은 최소 10만여㎡(3만여평) 가량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초면에 종합터미널이 들어설 경우 가장 큰 걸림돌은 용도지역 변경여부가 될 전망이다. 민자사업으로 진행될 것이 거의 확실한 만큼 가장 큰 관건은 투자자 유치문제, 종합터미널 부지에 판매시설 등이 들어갈 상업용지가 넓어야 사업성을 맞출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용도지역 변경 허가권자인 경상남도의 결정에 모든 것이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모 시의원은 “경남도가 농업진흥지역에서 상업지역으로 쉽게 변경 해 주겠냐”며 행정과 의회의 노력을 주문했다.
한편 민자유치로 종합터미널이 건설될 경우 사업시행방식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눠진다. BTO(건설·양도·운영), BTL(건설·양도·임대), BOT(건설·소유·양도), BOO(건설·소유·운영)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