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와 하청-장목을 잇는 지방도 1018호선의 확·포장 사업이 국도5호선 건설사업에서 제외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들이 분노하고 있다.
경남도는 마산과 거제를 연결하는 국도5호선(일명 이순신대교)건설사업을 추진하면서 확·포장이 시급한 연초-장목 노선을 오히려 제외시킨채 설계를 진행했다. 김해연 도의원의 지적에 의해 이같은 사실이 드러났다.
김 의원에 따르면 경남도는 지난 3월 이순신대교 건설사업과 함께 추진되던 지방도 1018호선 확장계획을 제외시키고 이순신대교만의 조기시행을 부산지방국토청에 건의했다.
김해연 의원은 지난 18일 경남도 건설항만방재국 행정사무조사에서 “경남도 지방비 사업인 연초-장목 1018선 확·포장이 국도5호선(마산 현동-거제 장목)의 연장사업에 포함되면서 이 구간 확장계획이 오히려 중단됐다. 거제의 소통대책도 없이 다리만 놓겠다는 것인가”며 경남도의 대책을 추궁했다.
경남도는 2010년부터 2016년까지 468억원을 들여 연초-하청-장목을 잇는 9.3㎞ 구간 4차선 확장계획을 세웠었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연초·장목 주민들이 대책위를 꾸리는 등 즉각적인 대응에 나섰다.
주민들은 “책임지지도 못하면서 왜 확·포장이 계획돼 있던 1018호 지방도를 국도로 승격시켰느냐”며 “경남도는 빠른 시일내에 국도5호선 연장 사업에 이 구간을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연초-하청-장목을 연결하는 지방도 1018호선은 그간 확·포장이 줄기차게 요구돼져 온 숙원사업이었고 특히 거가대교 개통 후 거제지역의 원활한 교통흐름을 위해서는 4차선으로의 확·포장이 무엇보다 시급한 것으로 인식돼 왔다.
그러나 경남도가 이순신대교의 건설에만 급급한 채 이 구간을 국도5호선 연장 사업에서 제외시켜 사업의 조기시행이 불투명해지고 있다.
김 의원의 질타와 주민들의 요구에 대해 박종규 경남도 건설항만방재국장은 “지방비를 들여 하는것 보다 국비로 더 빨리 되도록 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구간 조기 확·포장 건의서를 김태호 지사를 직접 만나 전달하는 등 사업의 조기시행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해간다는 방침을 대책위측은 정했다.
한편 경남도는 이와 관련 30일 기자회견을 통해 도의 입장과 계획을 발표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