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불모지’ 오히려 조장하는 거제시
‘문화 불모지’ 오히려 조장하는 거제시
  • 최대윤 기자
  • 승인 2010.01.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형문화재 ‘칠진농악’ 존재조차 제대로 몰라

‘문화 불모지 거제’라는 오명 뒤에는 거제시의 안이한 문화 행정이 크게 자리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거제 칠진농악’ 위기 사례가 이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450여년의 맥을 이어 온 거제칠진농악은 임진왜란 당시 민초들의 애환을 달래고 이순신 장군 및 군사들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등으로 큰 역할을 한 거제 특유의 토속 농악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거제에는 기성관을 통할령으로 옥포, 조라, 율포, 영등, 가배량, 지세포, 장목 등 7진을 두고 왜구를 방어했고 이 7진 이름을 따 '칠진농악'이라 이름했다.

거제칠진농악은 그 역사적 전통성과 기능성을 인정받아 1975년에 무형문화재로 지정되기도 했다.

문화 불모지 거제로서는 큰 자산을 얻는 셈이었다.

그랬던 칠진농악이 지금 거제에서 사라질 위기에 놓인 것이다.

행정의 무관심과 지원부족 등에 큰 원인이 있다는 지적이다.

칠진농악 기능보유자로 어렵게 그 맥을 이어가고 있는 정옥식 옹은 “거제칠진농악만이 갖는 자랑스런 역사와 전통을 길이길이 보존해갈 필요가 있는데 전수관 하나 없는게 현실이다”며 “사재를 털고 각 학교를 찾아다니며 겨우 연습장을 구해 연습하고 하는 실정이다”고 말했다.

거제칠진농악이 맥이 끊길 위기에 처하자 정옥식 옹을 비롯한 몇몇 사람들이 ‘거제칠진농악보존회’를 지난해 말 결성하고 백방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역부족이 큰 현실이다.

보존회 유재철 감사는 “인근 통영시, 고성군 등이 오광대를 비롯한 다양한 토속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려 노력하고 이를 전통 문화상품으로 집대성하는 등의 모습을 보면 너무나 부럽다. 전수관도 다 갖추고 있다. 거제의 현실과 너무나 다르다”고 말했다.

웬만한 단체들도 다 지원받는 행정의 지원금 조차 이제껏 한 푼 받지 못하고 행정의 사각지대에서 시나브로 움츠려져 온 게 ‘거제 칠진농악’의 현실이었던 셈이다.

500억원을 넘게 투자해 문화예술회관을 짓고 대중가수 공연행사 등에 매년 십 수 억원을 쏟아 붓는 거제시 문화행정. 그러나 정작 계승하고 보존해야할 거제의 전통문화에 대해서는 너무나 인색하고 있다.

시가 오히려 ‘문화 불모지 거제‘를 조장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당연히 나오고도 있다.

이순신 장군의 옥포대첩을 기리는 행사를 매년 수 억원 씩 투입해 하고 있지만 이와 함께한 전통문화인 ‘거제칠진농악’에 대해서는 철저히 문외한으로 일관하고 있다. 거제시 문화행정의  현주소라는 씁쓸함을 남기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