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正月)
정월(正月)
  • 거제신문
  • 승인 2010.02.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월 초하루는 설이다. 설은 한자어로 신일(愼日)이다. 신(愼)은 ‘삼가하다’는 뜻으로 설이 되면 몸과 마음을 근신하고 가다듬어 새해를 맞으라는 뜻이 담겨 있다. 따라서 정월에는 금기(禁忌)도 많다. 이는 액을 막고 복을 부른다는 제액초복(除厄超福)으로 탈 없이 살고 싶어 하는 마음 때문이다.

삼패일(三敗日)이라 해서 음력 초닷새, 열나흘, 스무나흘은 액이 있는 날이라 외출을 삼가고 매사 조심해야 한다. 초이레는 인일(人日)로 바깥출입은 물론 남의 집에 가서 자서도 안된다. 부득이 손님이 와서 잘 수밖에 없다면 주인과 손님이 머리를 반대로 해서 거꾸로 자야만 액을 면할 수 있다.

1년 동안 빗질하면서 빠진 머리카락을 모아 두었다가 섣달그믐이나 정월 초하룻날 태워 없앤다. 머리카락은 인간의 육신을 대신하는 대체물로 한 해 동안 닥칠 불행이나 병마를 미리 소멸시킨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설날이 12간지(干支) 중 털이 있는 동물날(有毛日)과 털이 없는 동물날(無毛日)인가에 따라 한 해 농사를 점쳤는데 올 설은 을미(乙未)로 양(羊)이기 때문에 풍년을 예상할 수 있다.

첫 쥐날(上子日)은 쥐의 번식을 막기 위해 콩을 볶으면서 ‘쥐 주둥이 지진다’는 주문을 외고 만사를 제쳐 놓고 놀았다. 첫 소날(上丑日)은 소에게 일을 시키지 않았고, 첫 호랑이날(上寅日)은 부녀자의 외출이 금지되고, 첫 토끼날(上卯日)은 아내가 남편에게 옷을 만들어 주면 명(命)이 길어진다고 해서 실을 ‘명실(命絲)’또는 토끼날이라 ‘토실(?絲)’이라고 했다.

첫 닭날(上酉日)에는 부녀자의 바느질이 금지되고, 제주도 풍습에는 이날 사람이 모이면 싸움이 난다고 해서 일체 모임을 갖지 않으며, 첫 용날(上辰日)에 용이 우물에 알을 낳는다고 해서 아낙이 새벽 일찍 우물에 가서 물을 긷는데 이는 용알(龍卵)을 건지기 위함이다.

이러한 풍습들은 거의 사라졌지만 정월은 의미로운 달인 것만은 틀림이 없다.(san1090@hanmail.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