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 지난해 7월 현장 확인하고도 시정 조치 안해
산림을 무단 훼손하며 영업행위를 하고 있는 사실을 시가 인지하고서도 그대로 방치해온 사실이 드러났다.
지난 3일 본지 취재진이 찾은 일운면 지세포리 공동묘지 앞 현장은 산림이 훼손되고 층을 이뤄 다져진 반경 100m 내외의 땅에 개 사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악취가 진동했고 수 십 마리의 사육개들이 사납게 짖어대고 있었다.
지난해 7월 본지로 한통의 전화가 걸려왔다. 공동묘지 산소에 왔는데 악취와 개 짖는 소리가 들려 찾아가보니 산림을 크게 훼손한 채 수 십 개의 개 집들이 들어서 있었다는 것.
주변은 부패한 음식물들이 즐비했고 소리도 소리지만 악취가 너무 심했다는 것.
제보자는 "산림훼손의 상황을 보니 시가 허락한 것은 아닌 것 같고 불법으로 산림을 훼손하고 점용하고 있는 것 같다. 산소를 찾는 사람마다 불쾌해하고 시를 원망하고 있다. 공동묘지 바로 앞이 산림훼손과 환경오염으로 방치되고 있음이 이해가 안간다. 언론에서 확인후 조치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해 주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본지는 녹지과 관계자, 일운면 관계자 등과 통화 후 현장을 확인했고 시정조치를 시로부터 약속받았다.
그러나 지난 3일 본지는 "8개월 전과 달라진 게 하나도 없다. 보도를 통해 시정할 수 있도록 하는게 언론의 역할 아니냐"는 항의성 전화를 다시 받아야 했다. 시 녹지과는 시정조치의 약속을 지키지 않은 채 수수방관해 왔던 것이다. 민원도 민원이지만 산림이 크게 무단 훼손되고 있는 현장을 확인하고서도 1년 가까이 아무런 조치를 취함이 없이 방치하고 있었던 것에 대해서는 분명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시 녹지과 관계자는 "지난해 7월 현장을 확인했고 개를 다 판 후 철거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 다시 현장에 나가 확인 후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모씨는 산 속 깊은 이 곳에서 수 년전부터 개를 사육한 후, 내다 파는 개 영업을 해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동네에서 개를 사육하기가 어려워 산속으로 들어왔고 생계형인데 이해해 달라"며 민원인들의 철거 요구에 대응해 온 것으로 또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