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수업 온라인 공개 '논란'
학교 수업 온라인 공개 '논란'
  • 이영주 기자
  • 승인 2010.04.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과부 추진에 교원단체 등 "명백한 학습권 침해" 반발

도·시교육청 "구체적 시행 공문 받지 못했다" 예의 주시

교육과학기술부가 학교수업의 온라인 공개를 추진하자 교원단체들이 반발하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교과부는 학부모들의 교육권을 강조하며 학교수업을 온라인으로 공개하는데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반면 교원단체나 일선교사들은 "명백한 학습권 침해다"며 반발하고 있는 것.

특히 교과부는 올 신학기부터 전면 도입된 교원평가제가 안착하려면 학부모들이 교사들의 실제 수업을 제대로 확인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교원평가제의 핵심이 학부모 만족도 조사인데 현행 제도하에서는 자녀들과의 대화나 한 학기 두 차례씩, 연 4회 실시하는 공개수업이 전부이고 공개수업마저 불참하는 경우가 많아 교원평가제에 대한 실효성 논란이 일 수 밖에 없다는 것.

교과부 관계자는 "교과부는 진작부터 학교 수업을 온라인으로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해 왔다"며 "서울의 한 고교는 모든 수업을 인터넷으로 공개해 학부모들이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일단 올해 교원평가제에 따른 공개수업을 온라인으로 하고 앞으로 이를 더욱 확대해 나가는 방안을 검토중이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교원단체 등은 학교수업의 온라인 공개 추진에 대해 "교사들의 적극적인 수업을 방해하고 학생들에 대한 지도활동을 위축시킬 수밖에 없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온라인 시스템 구축 등에 따른 막대한 예산 투자 등에 비해 실효성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하고 있다.

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 관계자는 "교사들의 동기부여를 위한 것이라면 일부 학교를 대상으로 공개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는 있다"며 "전체 학교의 수업을 온라인으로 공개하는 것은 학교 현실과 동떨어진 전형적 탁상 정책으로 당장 철회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경남도교육청 관계자는 "논란이 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 공문은 받지 못했다. 정책으로 추진될지는 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거제시교육청 관계자 역시 " 이와 관련한 내용을 아직 접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교과부의 학교수업 온라인 공개 추진이 구체적 정책으로 추진되기는 여러 여건상 쉽지 않을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당분간 이같은 논란은 더욱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