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의 신공항 밀양유치를 위한 서명운동이 도 차원에서 적극 진행되고 있다. 거제시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시청 민원실에는 ‘동남권 신공항 밀양 유치를 위한 1,000만명 서명 운동’을 위한 서명 용지가 비치돼 있다.
경남도 전 시ㆍ군이 같은 상황이다.
서명숫자를 통해 경남도 주민들의 바람을 수치화하고 이를 통해 입지선정의 유리한 고지를 점하겠다는 전략인 셈이다. 어떤 사안, 일에 대해 동참, 동의를 표명하는 서명은 자발적이고 순응적이어야 하는 것은 기본이다.
헌데 지금 경남도가 추진하고 있는 밀양유치 ‘서명’은 그 방식과 전제에서 ‘서명’이란 기본적 논리조차 무시한 ‘의미 파괴적’ 언어도단이다. 그러니 관제적 ‘여론 동원’이란 비판을 받는게 아닌가?
왜 가덕도보다 밀양이 더 적합한지, 왜 신공항의 밀양입지가 타당성이 더 크고 경제적 효과가 더 큰지..나아가 국가 백년대계에 더 적합한지에 대한 설명은 없다. 경남도민이니까 당연히 ‘묻지도 말고 따지지도 말고’ 밀양 유치를 외치자는 것이다.
경남도에 묻는다. 김태호 지사가 임기동안 강조하고 적극적으로 챙겨온 게 남해안 프로젝트다. 김지사의 노력 덕분에 남해안 프로젝트의 많은 사업들이 국가시업으로 추진되기도 하고 있고 특별법도 만들어졌다.
‘남해안 프로젝트와 밀양 신공항’, 남해안 프로젝트와 가덕 신공항‘ 어떤 조합이 더 타당하고 지속적 시너지 효과가 더 클 것인지 검토, 이에대한 답을 주었으면 한다.
밀양은 내륙권이다. 반면 가덕도는 남해안권이다. 경남도의 부가가치에 크게 기여하는 다수의 지역들이 남해안을 끼고 있고 남해안의 물류 흐름, 국제 관광객 유입에 큰 기대를 하고 있다. 거제, 통영, 고성, 사천, 진주, 창원, 마산, 진해, 남해, 여기에다 여수, 순천, 여천, 광양 등까지.
지역적으로 경남도 소속이라고 무조건 경남도의 주장에 따라야 하는가? 혹 따르지 않는다면 무슨 페널티라도 부과할 것인가?
경남도의 많은 지역들이 밀양보다는 가덕도에 신공항이 들어섬으로써 오히려 더 큰 기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사실을 경남도는 어떻게 생각하는지 또한 묻고 싶다.
부산시와의 지역적 대립 문제, 경남도 차원의 극단적 핌비주의, 아니면 또다른 정치적 논리 (?)등에 근거하지 않았기를 바랄 뿐이다. 참고로 지난 13일 부산에서 있었던 ‘동북아 제2 허브공항 토론회’에서 나온 주장을 소개하고 싶다.
"부산시와 전라남도, 경상남도가 공동 추진 중인 '남해안권 종합개발계획'의 성패를 좌우할 핵심 인프라는 신공항이다"는게 주 요지였다. ㈜도화종합기술공사 조기근 상무의 주장이다.
도화종합기술공사팀은 지난 3월 19개국 66개팀이 참여한 부산국제건축문화제 주관 '부산 가덕도 개발 국제현상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회사다.
조 상무는 '신공항이 남해안권 및 가덕 개발에 미치는 영향'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두 계획의 비전을 달성하고, 신공항이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해로와 육로, 항만, 물류단지가 연계돼 24시간 안전하게 운영돼야 한다"며 “신공항이 가덕도에 들어서는게 국가적으로 타당하다”고 말했다.
그는 "신공항은 남해안 프로젝트를 완성, 항만과 경제자유구역, 남부권 첨단산업단지의 독자적 가치창출과 상호 상승작용에 의한 무한한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편집국장 변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