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교량 보수·관리 등 시 재정 막대한 부담 불가피

옛 거제대교의 관리권을 떠맡은 거제시가 매년 투입되는 막대한 유지보수비 부담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특히 개통 39년이 지난 노후교량의 특성상 이 같은 유지보수가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닌 임시처방에 불과해 예산부담에 따른 시의 고민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시에 따르면 지난 1999년 신 거제대교가 개통되자 국토관리청은 1971년 만들어진 옛 거제대교를 국도 14호선에서 제외해 관리권을 경남도로 이관했다. 이후 경남도는 이 다리를 농어촌도로나 시도로 분류해 자치단체가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 7년여의 논란 끝에 2007년 10월 시로 관리권을 떠넘겨버렸다.
이에 따라 시는 2008년 8억원, 2009년 4억원을 투입해 상판 하부 교각과 강판 녹 제거, 콘크리트 보강 등의 보수를 마쳤다. 투입된 예산은 시비 50%와 도비 50%로 충당됐다.
올해는 10억원의 예산을 들여 염해 및 중성화 방지를 위한 방수 및 교각보수공사로 내구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방침이다.
그러나 옛 거제대교는 통과하중이 30t에 불과한데다 그동안 조선기자재 운송을 위한 대형차량의 운행 등으로 교량 피로가 누적, 이 같은 보수공사가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는 지적이어서 시의 고민이 한층 깊어지고 있다.
여기에다 5년마다 실시하는 정밀안전진단 결과가 이달 중순께 나오면 내년부터 또다시 보수 사업비를 투입해야 할 가능성이 커 열악한 시 재정형편상 막대한 예산부담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대전∼통영 간 고속도로가 거제까지 연장되면 새로운 교량이 만들어지지만 이는 2016년 이후에나 가능할 전망"이라면서 "현재 하루 2,000여대의 차량이 통행하고 있는만큼 옛 거제대교를 해체하는 대신 연차적으로 예산을 투입해 보수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옛 거제대교는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이 지난 2005년 5월 실시했던 정밀 안전진단 결과 안전성 종합평가 등급이 C등급으로 나타나 전면적인 보수가 시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안전성 평가 결과에 따르면 옛 거제대교는 상판과 교각의 바닥판에서 균열, 박리, 철근노출 등 열화과정을 보여주는 손상이 많이 발견됐고, 바닥판 전체에서 철근 부식이 우려됐다.
강재 부분 260개소에 대한 초음파 탐사결과 49%인 123개소가, 방사선투과 조사결과 40개소 가운데 39개소가 불합격 판정을 받았었다. 콘크리트의 내구성 검사결과 염화물 함유량이 철근 깊이에서 E등급으로 불량한 상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