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단체, 정부 차원 강력한 개발 추진 촉구

부산발전연구원 최치국 도시창조본부장은 부산상공회의소가 지난달 29일 오후 개최한 동북아 제2허브공항 건설 국제세미나에 앞서 배포한 '가덕도 해안공항 개발계획'이라는 발제문을 통해 "김해공항 확장안은 기존 시설을 활용할 수 있고 접근성은 좋지만 소음영향권이 30개 학교, 7,838가구로 확대되는데다 강서국제물류도시의 개발제한 등을 감안하면 사실상 대안으로서는 적합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최 본부장은 "김해공항은 3억500만㎥의 산지를, 밀양 하남의 경우도 4조9,500만㎥의 산지를 절개해야 하기 때문에 그 공사비용만도 엄청난 금액이 들어가야 하므로 24시간 허브공항으로서의 기능을 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최 본부장은 대신 "가덕도의 경우 진입표면의 장애물이 없는데다 소음영향 또한 없어 24시간 공항운영이 가능하다"며 "부산시 등 5개 시도가 신공항을 공동개발하기 위한 '동남권 공항 자치기구'를 공동으로 설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용역을 맡은 국토연구원의 '동남권 신공항 개발의 타당성 및 입지조사 연구'결과 가덕도와 밀양 모두 경제적 타당성(비용 대비 편익·B/C)이 1에 크게 못미쳤다. 가덕도는 0.7, 밀양은 0.73으로 분석돼 두 곳 모두 경제적 타당성이 부족했으며, 우열조차 가리기 쉽지 않은 결과가 나왔었다.
이와 관련 부산 지역 136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바른공항건설시민연대' 대표 30여명은 지난달 27일 부산시청 앞에서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반대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정부 차원의 강력한 추진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