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의 눈]'돈 공천 의혹'…검찰, 조기에 꼭 밝혀주길
[데스크의 눈]'돈 공천 의혹'…검찰, 조기에 꼭 밝혀주길
  • 변광용 기자
  • 승인 2010.05.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정가가 요동치고 있다. 소문으로만 떠돌던 '돈 공천' 의혹이 불거진 것이다. '터질 것이 터졌다'에서 '설마'까지 시민들은 충격과 함께 그 추이 및 검찰의 조사결과에 눈과 귀를 지금 집중시키고 있다.

윤영의원의 '돈 공천' 의혹은 지난 6일 한겨레가 사회면에서 제일 먼저 보도했고 지역언론에서는 본지 인터넷 홈페이지가 처음 보도했다.

지난 6일 오전 9시 10분, "거제지역 한나라당 후보공천과정에서 돈을 주고 받고 한 내용이 들어있는 녹취록이 존재, 윤영 의원이 '돈 공천' 의혹에 휩싸여 있고 검찰의 수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는 본지 보도가 나간지 불과 몇 시간만에 본지 홈페이지의 조회 수는 1500을 넘어섰다. 무엇을 말하는가.

급속도로 소문이 퍼지면서 시민들은 본지 홈페이지를 열고 확인을 하고 또 소식을 전하고 했던 것이다. 참담해 하고 분개하면서.

거제지역에서 이같은 일이 터졌다는 것에 대해 수치스러워하는 표정도 역력하다. 검찰이 적극 움직여 의혹을 조기 해소해주기를 그래서 강력히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윤 의원은 공천 신청자들의 경합이 한창이던 지난 3월 17일 기자회견을 열고 기자들이 묻기도 전에 먼저 '공천헌금을 요구하지도 받지도 않을 것이다'고 약속했다.

이에 본지는 22일자 사설을 통해 "공천헌금 관련, 온갖 난무하는 설과 추측과 단정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윤의원의 약속이 지켜질 것이라 믿는다. 거제 정치판에서 더 이상 '공천헌금' 관련 설들이 난무하지 않기를 기대해 본다"며 윤의원의 약속준수를 촉구한 바 있다.

그 때 당시 지역정가에서는 '공천헌금 설' 들이 난무하고 있었다. 본지도 돈 공천 의혹 관련한 몇가지 정황을 포착했으나 물증을 확보하지 못해 보도를 보류하고 있던 때였다.

그러나 이번 '돈 공천' 의혹의 발단이 되고 있는 녹취록 관련 문건은 이미 지난 2월에 작성된 것이었다. 만약 녹취록이 진짜 존재하고 있고 그 내용이 사실이라면 윤의원은 너무나 뻔뻔하게 23만 시민들을 상대로 거짓을 말한 것이 된다. 물론 아직 그 진위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다.

윤 의원은 이와관련 지난 6일 기자회견을 갖고 '돈 공천' 의혹 사실 자체를 강하게 부인했다. "돈을 1원이라도 받았다면 의원직을 사퇴하겠다"고도 했다.

윤 의원의 지난 2월 약속과 지난 6일 입장 표명이 진실이었기를 우리는 바란다. '거제의 자존심' 문제요, '깨끗한 정치'의 건재에 대한 우리의 간절한 바람이기 때문이다.

한가지 더 윤의원의 '부인 이야기' 또한 무성한 소문을 양산시켜왔다는 사실이다. 이 부분에 대한 해명도 있어야 그 진위가 명확해 질 수 있을 것이란 게 우리의 판단이다.

이제 경찰과 검찰의 몫이다. '녹취록 문건 관련 내용'에 "돈을 요구하고 받고 한 내용이 들어 있었다"고 말한 거제경찰서 한 간부는 지방청의 조사를 받았고 통영지청은 이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윤 의원은 부인하고 있지만 '범죄 혐의'가 될 수도 있는 내용을 경찰 간부에게 사전에 보여주고 의논도 했다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검찰의 조속하고도 명확한 수사를 재차 촉구한다. 사실이 아니라면 윤 의원의 진실을 밝혀주어야 하고 그 반대라면 그에 따르는 엄중한 법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

 "선거시기다. 민간한 시기다. 특정 후보자에 대해 영향을 미친다"는 등의 논리로 수사를 미룬다면 이는 상황을 가벼이 보고 있음이고 '정치검찰'이라는 항간의 이야기들을 인정하는 꼴이 될 수 있다. 오히려 더 큰 혼란과 갈등의 진원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는게 또한 우리의 판단이다.

공당의 후보자 선출은 공명정대해야 하고 또한 투명해야 한다. 공천권을 좌우하는 사람의 사리사욕과 이를 매개로 부정한 거래가 개입돼서는 안된다. 더욱이 돈이 공천의 '전략'이 되는 후진적, 불법적 행태는 이제 지위고하, '상황적 논리'를 떠나 분명하고도 즉각적으로 뿌리뽑아야 한다.

국회의원, 예비후보자들의 개인 문제가 아니다. 한국 정치의 건강성 문제요, 사회적 문제다. 검찰이 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