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의 막이 올랐다. 저마다 자신만이 최고의 일꾼이 될 수 있다며 한 표를 호소하고 있다. 선거 때만 보면 거제는 금방이라도 지상낙원이 될 것 같고 선출된 사람들 역시 시민들을 하늘같이 모실 것 같아 보인다. 그러나 우리의 경험은 이에 너무나 냉소적으로 반응케 하고 있다.
루소는 시민들을 일컬어 '투표 시에만 자유로운 존재'라고 했다. 선거가 끝나자마자 시민들은 곧바로 '피지배 대상'으로 전락하고 만다는 것이다. 다소 과장된 면은 있겠지만 그 행태는 예나 지금이나 크게 달라진 게 없는 모양이다.
선거 때면 모든 것을 다해줄 것 같이 하다가도 당선되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위에 군림'하려 하고, 부정한 방법으로 사리사욕을 채우고, 시민들보다 권력자의 눈치보기에만 급급하고, 나아가 거짓을 말하고 위선으로 무장하고....
유권자들은 심한 배신감을 느끼고 속은 것에 대해 정신적 스트레스까지 받는다. 그러나 어떻게해 볼 도리가 없음을 어찌하랴. 4년을 기다리는 수 밖에. 잘 기억했다 돌려주는 방법밖에 없음이다 .
개그 프로에서처럼 "선출직들이 약속을 지키고 제대로 역할을 하고 시민들을 존중할 수 있을 때까지 거제시 유권자들이여 일어나라"고 외쳐야 할 판이다.
결국 유권자들이 냉철한 잣대를 들이대 옥석을 가려내는 것이 답이다. 도지사, 교육감, 시장, 도의원, 시의원 이들의 역할에 따라 우리 생활은 많은 영향을 받는다. 지역발전 또한 크게 달라진다. 그만큼 제대로 일할 수 있는 사람을 선택해야 한다.
지방자치제의 근간은 정당이 아니라 사람이다. 따라서 정당의 이념이나 지역성에 매몰된 채 '묻지마 식'으로 이루어지는 '정당지향형' 투표는 경계할 필요가 있다. 이는 유권자의 권리를 스스로가 포기하는 꼴이다. 또한 사람도 역사가 있는 만큼 살아온 과정이 신뢰를 주지 못하고 말과 행동이 틀려온 사람들은 크게 기대할 것이 없음도 꼭 고려해야 한다.
정책을 꼼꼼히 비교, 평가하는 부분도 있어야 한다. 정책은 유권자들에게 돌려 주겠다는 혜택의 내용이다. '어떤 사람이 우리에게 유익할 것이냐'는 것이 합리적 투표의 철학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정책관심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예를 들어 비정규직 문제 관련 설득력 있는 정책을 낸 후보가 있다면 비정규직으로서의 아픔을 견뎌온 유권자들은 이 후보를 통해 자기의 권익을 향상시켜 가는 것이 합리적인 방법이라는 것이다.
유권자들이 일어나 '유권자 혁명'을 시작하는 방식은 이렇게 시작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정당이 지배하고 국회의원이 지배하는 굴절된 형태의 지방자치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된다.
대신 유권자들을 항상 염두에 두고 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정책과 역할과 행동을 성실히 찾아가며 시민들을 끝까지 존중할 줄 아는 선순환의 지방정치가 자리하게 된다.
이번 선거가 소위 '돈만 있는 지역 유지들의 말 장난 잔치'가 제발 되지 않기를 바란다. 그러기 위해서는 유권자들이 두 눈 부릅뜨고 일어나야 한다. 6월2일, 23만 거제시민, 16만 거제시 유권자들의 현명한 선택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