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 납품업체 선정, 학교장·영양사 영향력 커…식자재 다수 타지역서 들어와
학교 급식 납품업체의 선정과정에 대한 비리가 터지면서 거제지역에서도 대대적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경남 지방경찰청이 급식비리 수사결과를 이번 주 쯤 경남도 교육청으로 통보할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가운데 거제지역에서도 비리 대상 학교 및 관련자들이 포함돼 있는지 여부가 관심을 끌고 있는 것.
경남도 교육청은 통보를 받은 후 이들에 대한 징계 여부를 논한다는 입장이다. 경찰은 그간 도내 110개 학교 100여명의 급식관련 연루자 및 영양사들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왔다.
본지가 거제교육청에 요구해 받은 지역내 각 학교 급식재료 남품 현황에 따르면 학교급식에 사용되는 다양한 식자재 중 다수가 거제지역 아닌 타지역에서 납품되고 있었다.
납품업체의 결정은 운영위원회 회의를 거쳐 입찰 또는 수의계약으로 이루어지며 통합 납품보다는 재료별로 각기 다른 업체들과 계약을 하고 있었다.
거제지역 학교의 급식 납품 종류의 총 수는 237개였고 이를 30개 업체가 각 학교측과 복수 계약을 통해 납품하고 있었다.
거제 교육청은 정확한 납품단가는 공개하지 않았다. 수의계약 납품 과정에서는 학교장과 영양사 등의 입김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게 급식납품업체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경남급식연대는 지난 12일 기자회견을 열고 "급식비리는 공무원과 업체가 자신의 이익을 위해 아이들의 먹을거리로 장난을 치는 파렴치한 짓이다"며 "급식비리와 관련한 교육 공무원 전원을 공개하고 엄중 처벌해야할 것이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거제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