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 28일 오후 6시께. 퇴근을 앞두고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살피던 회사원 추모씨(36·고현동)의 눈살이 절로 찌푸려졌다. 일을 하느라 살피지 못했던 몇 건의 문자가 선거와 대부업체, 대리운전업체 등에서 보내 온 홍보성 문자메시지였기 때문이다.
추씨가 하루 평균 5통 가량의 홍보성 메시지를 받기 시작한 것은 한 달여 전. 현재는 대부업체의 대출광고와 인터넷 게임광고, 대리운전 업체의 홍보 광고에다 6·2지방선거 출마자들의 홍보 메시지까지 더해지면서 하루 평균 10여 통 이상의 문자를 받고 있다.
추씨는 홍보성 문자를 보내는 업체나 사람들의 전화번호를 스팸으로 분류해 처리했지만 전화번호를 바꿔 보내오기 때문에 이마저도 헛수고였다.
이처럼 시도 때도 없이 들어오는 휴대전화 스팸 문자메시지로 불편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직장인 최모씨(32·옥포동)는 "지난해에는 보이스 피싱 문자가 기승을 부리더니 최근에는 대리운전과 대부업체의 홍보 메시지와 광고 메시지가 넘쳐나고 있다"며 "여기에다 선거철을 맞아 출마자들의 선거 홍보 메시지까지 들어와 가히 문자메시지 폭탄을 맞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말했다.
최씨는 "홍보를 위한 선거 출마자들의 애타는 심정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 심하다"면서 "스팸 문자라 생각해 정작 필요한 문자를 확인하지 않아 난처했던 적도 있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주부 김모씨(29·상문동)는 "낮에는 대출광고와 인터넷 가입 문의 관련 문자가 오더니 최근에는 밤 시간대에 대리운전 광고가 계속 들어와 짜증난다"며 "새벽에도 홍보 문자가 들어와 잠에서 깬 적이 한 두 번이 아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씨는 또 "출마자나 업체 홍보도 중요하겠지만 이를 원치 않는 사람들에게는 공해나 마찬가지"라면서 "문자메시지를 거부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만들어 지던지, 이를 발송하는 업체에 대한 제재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IT가 발전할수록 개인정보 유출문제가 심화되고 있다"며 "보안시스템과 정책을 통한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한편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해 11월부터 불법 스팸문자 발송을 억제키 위해 휴대폰 당 1일 발송건수 500건 제한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며, 휴대전화 통신사들은 스팸성 문자메시지를 자동으로 차단해 주는 스팸차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