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 같은 냉방병도 최근 급속 확산…전문가 상담 후 맞는 약재 골라써야

여름철에 한약을 먹으면 땀으로 다 나가서 효과가 없다는 속설이 있다. 더 나아가 몸을 보하는 보양제의 경우엔 절대 여름에 써서는 안된다고도 한다. 그래서인지 날이 더워지면 이런 문의를 하는 경우가 부쩍 늘어나지만 이는 별로 근거 없는 낭설에 가깝다.
반례로 여름철이 되면 보신탕이나 삼계탕과 같은 보양음식을 부쩍 찾게 되는데, 위에 말한 속설과 같다면 이런 보양음식마저도 땀으로 다 빠져나가 효과가 없을 것 아닌가. 이러한 속설과 반대로 예로부터 보양음식에 관한 문화는 여름철에 발달되어 왔다.
여름철은 양기가 왕성한 계절이라 다른 계절에 비해 신진대사도 왕성해지고 땀도 많이 흘린다. 대사가 활발하다보니 기운소모가 심해지고 땀을 많이 흘리게 되면 진액의 손상이 심해질 수 있다. 현대적으로 말하면 전해질 손상을 일으키기 쉬운 것이다.
기운의 소모가 심해지는 것과 땀을 많이 흘리게 되는 것은 모두 우리 몸의 기운이 빠지는 기허증(氣虛證)을 유발하게 된다.
또 더운 날씨는 우리 몸의 체표의 주리(피부와 살을 뜻하는 한의학 용어)를 성글어지게 만들고 주리가 성글어지면 땀이 더욱 많이 나게 된다.
더운 날씨에 체온을 조절하기 위해 우리 몸이 자발적으로 땀을 흘리기도 하지만 더위로 주리가 성글어지면 수도꼭지의 패킹이 헐거워져서 수돗물이 줄줄 새듯이 땀의 조절기능을 잃어 땀이 저절로 새어버리는 경우가 생긴다.
그래서 여름철 보양식에는 인삼이나 황기, 닭이나 개 등을 써서 부족해진 기를 보해주는 방법을 쓰고 더 나아가 황기나 오미자와 같이 주리를 단단하게 단속하는 약재를 써서 주리의 기능을 회복시켜 진액의 손실을 막아주기도 하며 인삼, 맥문동, 천문동과 같은 약재로 부족해진 진액을 직접 보충해주는 방법을 겸해서 사용한다.
이러한 이치로 인삼과 황기를 더한 삼계탕, 보신탕과 같은 보양식에 생맥산, 제호탕과 같은 여름철 한방음료가 만들어진 것이다.
더군다나 현대에는 냉방시설이 잘되어 있고 많은 직업들이 무더위에 직접 노출되는 경우가 많지 않고 오히려 여름철 감기 등과 같은 냉방병에 더 신경을 써야할 지경이다.
위의 속설이 맞다고 하더라도 요즘 같아선 여름철에 땀으로 약기운이 다 빠져나갈 환경 조건도 안되는 것이다.
냉방병은 감기증상과 유사하고 식욕저하나 소화부진, 설사 등 소화기와 연관된 증상이 많으며 몸이 추웠다 더웠다 하는 등 기혈의 순환마저도 저하된 상태가 많다.
이런 경우에는 오히려 적극적으로 순환을 원활히 해주고 건강을 되돌려 놓는 적절한 조치와 처방이 필요하다.

환자 몸의 상태에 따라 단순한 보양이 아닌 위로 치우친 열을 내려주거나 살을 빼주거나 맺힌 기운을 풀어주어 잘 돌게 하는 것이 그 사람의 몸을 더욱 이롭게 해주는 진정한 보약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너무 속설에 의존하여 하나의 음식이나 약재가 좋다는 말을 너무 믿지는 말고 전문가에게 상담하고 보다 잘 맞는 방법을 찾는 것이 여름철을 건강하게 나는 지름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