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독립형 LNG저장 화물창 독자 개발
대우조선해양, 독립형 LNG저장 화물창 독자 개발
  • 거제신문
  • 승인 2010.06.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 최대 용량 규모…LNG-FPSO에 적용키로

▲ 대우조선해양이 개발한 독립형 LNG 저장 화물창 ‘액티브(왼쪽 아래)’와 이를 탑재한 LNG-FPSO의 개념도(위).

대우조선해양(대표 남상태)이 LNG선(액화천연가스운반선)이나 LNG-FPSO(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설비) 등의 건조에 필수적인 독립형 LNG 화물창의 독자 개발에 성공했다.

알루미늄 재질로 설계돼 ‘액티브(ACT-IB : Aluminum Cargo Tank Independent type B)’로 명명된 이 화물창은 지금까지 개발된 독립형 화물창 중 세계 최대 용량 규모며, 대우조선해양은 이 기술을 연간 액화천연가스 200만t을 생산하게 될 LNG-FPSO에 적용할 계획이다.

21만㎥를 저장할 수 있도록 개발한 이 화물창은 현재 일본에서 유사한 독립탱크 방식으로 건조해 운항중인 LNG선이 8만㎥ 규모인 것을 감안할 때 3배나 큰 크기다. 또한 이는 우리나라가 하루 소비하는 천연가스의 양인 15만㎥ 보다도 훨씬 큰 규모다.

일본이나 프랑스에서 독점해왔던 극저온 LNG 화물창 건조 분야에서 우리 독자 기술로 개발에 첫 성공한 이 독립형 화물창은 초대형 LNG 운반선이나 부유식 해상 생산설비에 바로 적용이 가능해 그 동안 기술료로 지불되던 막대한 외화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로써 대우조선해양은 기존 멤브레인 형태로 설계한 LNG-FPSO 외에도 독립탱크 방식의 LNG-FPSO 설계 기술도 보유하게 되었다.

대우조선해양은 그 동안 이 화물창에 대한 열응력해석, 피로해석, 균열진전해석 등 국제해사기구(IMO)가 동형 화물창 구조(B type tank)에 요구하는 각종 해석과 테스트를 통해 화물창 구조의 안전품질에 대한 국제 검증을 마쳤고, 극저온에 견디는 단열시스템도 국내 업체들과 공동 개발해 이미 국제공인선급기관인 노르웨이 선급(DNV)으로부터 올해 초 공식 인증(AIP)을 받았다.

대우조선해양은 앞으로 이번에 개발한 ‘액티브’ 시스템을 차세대 친환경선박(Green-ship)으로 연구 개발중인 액화천연가스를 연료로 하는 선박(LNG Fueled Ship)의 연료탱크에도 적용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