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000억원대에 이르는 거제시 금고 유치를 위한 전쟁이 시작됐다.
거제시는 2011년부터 3개년 동안 시 일반회계, 특별회계, 기금 등 금고를 관리할 금융기관 선정을 위한 금융기관들의 제안서 제출을 지난 16일 공고했다.
2008년부터 농협이 관리해 온 일반회계와 특별회계의 금고 약정이 오는 12월말로 종료되는 것에 따른 것이다.
역대 시 금고 유치에 있어 농협이 아성 수준이라 할 만큼 단연 독보적이다. 여기에 경남은행 등이 후발주자로 유치 경쟁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
지난 2007년 시 금고 유치에서는 농협, 경남은행 우리은행 등이 제안서를 제출했고 일반회계와 특별회계 모두 농협이 차지했다. 경남은행은 배려차원의 기금관리를 맡았다. 이전에 시 특별회계 등을 맡기도 했던 수협은 신용사업을 할 수 없도록 업무가 조정되면서 제안 자격을 상실, 참여하지 못했다.
관심은 농협의 아성을 경남은행이 무너뜨릴 수 있을까? 일반회계와 특별회계 모두 또는 이 중 어느 하나라도 차지할 수 있을까가 주목되고 있는 것.
경남은행 김일겸 거제 지점장은 “지점장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 시 금고 유치라 할 수 있다. 농협이라는 강자가 있지만 우리도 우대금리를 제시하고 지역 환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이번 시 금고 유치를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에 반해 농협측은 다소 여유가 있다. “시 금고 유치가 의욕만 가지고 되나. 여러 조건들이 구비돼야 하는 것이다. 농협이 유치하는데 별 이상이 없을 것이다”는게 농협 한 관계자의 말이다.
거제시 금고 담당자는 “금융기관들이 제안서를 제출하면 금고 선정위원회가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해 평가를 해서 선정한다. 우대 금리 조건은 평가 비중에서 18% 정도 밖에 안되고 신용도, 재무구조의 안정성 등이 35%로 비중이 더 높다. 그 밖에 접근성, 금고 관리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객관적으로 선정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금고 업무를 다룬 경험이 있다는 한 공무원은 “금고 유치가 농협 중심으로만 선정되면서 보다 높은 이자수익 창출 기회 등의 고려가 다소 가볍게 취급되고 있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농협측으로부터도 더욱 많은 지역환원을 끌어내는 노력도 해야할 것이다”고 말했다.
시 금고 선정위원회는 부시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변호사, 회계사, 공무원, 시의원 등 9명으로 구성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