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가 흔히 보는 안질환으로는 알레르기성 결막염과 전염력이 강한 급성 출혈성 결막염, 유행성 각결막염 등이 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특히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사람들이 잘 걸린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꽃가루나 풀, 동물의 털 등에 대한 알레르기 경력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잘 나타나는데, 흔히 알레르기성 비염과 같이 질환을 앓게 되는 경우가 많다.
알레르기성 질환은 기온변화에 민감해 일교차가 심한 계절에 급증한다. 그러나 요즘처럼 냉방기 사용이 많은 여름에도 역시 에어컨이나 선풍기 속 먼지가 눈꺼풀이나 결막을 자극하기 때문에 방심할 수 없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처음에는 가려운 정도로 시작하나 방치하게 되면 증상이 나빠질 수 있다. 눈이 가렵고 시리면서 충혈되는 증상을 보이며 평소보다 눈곱도 많이 끼고, 눈물이 나면서 결막에 흰색 물집이 잡히기도 한다.
처음에는 한쪽 눈에만 생기다가 나머지 눈으로 옮겨간다. 안구가 더욱 건조해지고 시력이 떨어지기도 한다. 또 결막염을 오래 두면 각막 속으로 세균이 침투해 각막궤양으로 옮겨갈 수 있기 때문에 눈이 조금 가렵다는 정도로 넘어가버리면 위험할 수 있다.
더욱이 최근 급속하게 늘고 있는 안구건조증 환자의 경우 부족한 눈물로 인해 항원에 대해 더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알레르기 결막염이 잘 발생하며 증상도 더 심하게 나타난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실내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에어컨과 선풍기 등 냉방기 속 곰팡이와 먼지를 제거하고, 카펫 먼지 역시 수시로 점검해야 한다. 또 동물을 키운다면 털이 날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장마철과 같이 습한 환경도 좋지 않다. 집먼지 진드기도 자극적인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