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제ㆍ통영ㆍ고성어민 3000여명이 한국가스공사에 단단히 화가 났다.
거제ㆍ통영ㆍ고성어민 150여명은 한국 가스공사의 통영생산기지 가동에 따른 '어업피해 조사 용역'을 수용할 것을 촉구하는 집회를 지난 1일 경기도 성남 한국가스공사 본사에서 가졌다.
거제ㆍ통영ㆍ고성지역 어민들과 한국가스공사는 통영 LNG 생산기지 운영에 따르는 냉수피해 보상 문제를 두고 대립하고 있다.
진해만 해역에서 조업중인 어민 2천800여명으로 구성된 '어업피해손실 보상대책위'는 "한국가스공사 통영생산기지가 2002년 10월부터 가동되면서 기지에서 나오는 냉수와 LNG선이 지나가면서 발생하는 부유사(浮游砂) 때문에 어장이 황폐화돼 피해가 막심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책위에 때르면 통영생산기지는 영하 162℃의 액화천연가스를 바닷물을 이용해 기화시킨 후 3℃가량 온도가 낮아진 바닷물을 하루 69만톤씩 진해만으로 배출하고 있다는 것.
이 때문에 수온변화가 발생하면서 멸치와 감성돔, 굴 등 어족자원의 생산량이 기지 가동 이전보다 30%가량 감소하는 피해가 발생했다는게 어민들의 주장이다.
양석식 거제 피해보상위 위원장은 "가스공사가 2008년 대책위와의 합의에 따라 부경대에 피해조사용역을 의뢰, 지난 5월 최종 용역보고서가 나왔는데도 가스공사가 피해산정이 잘못됐다는 이유로 용역결과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며 "진해만 일대의 바다가 초토화 되고 있으며 바지락을 비롯, 온대성 어족 자원이 멸종돼 어민들이 입는 피해가 극심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 가스공사는 피해 산정 방법 등에 문제가 있어 부경대의 피해조사 최종보고서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4계절 수온자료를 사용하지 않고 동·하계 자료만 사용했고, LNG선 운항시 발생하는 부유사 발생량을 실측치를 사용하지 않고 가정치로 산정했다"며 "처음에 합의했던 방법으로 피해조사를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 부경대 용역팀에 재조사를 의뢰했고 그 결과에 따라 차후 대처 방안을 결정할 것이다"고 지난 3일 밝혔다.
한국가스공사는 주강수 사장이 부경대학교 용역팀과 어민피해대책위 등을 직접 면담한 후 방법을 찾겠다는 입장이다.
한국가스공사 통영생산기지는 남부지방의 안정적인 가스공급을 위해 2002년 10월 경남 통영시 광도면 안정국가산업단지에 들어서 가동을 시작했다.
평택과 인천에 이어 국내에서 세 번째로 건설된 천연가스 생산기지인 통영생산기지는 208만㎘의 액화천연가스 저장설비를 갖추고 연평균 6천500만톤 가량의 가스를 생산해 부산과 경남지역에 공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