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 섬꽃축제' 그 현재와 내일
'거제 섬꽃축제' 그 현재와 내일
  • 거제신문
  • 승인 2010.11.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병운 본지 칼럼위원
윤병운 거제시 농업경영인 연합회장
지난 10월29일부터 11월8일까지 거제면에 소재하는 거제시 농업개발원에서 "거제 섬꽃 축제"가 열하루 동안 펼쳐졌습니다.

혹자는 거제면이 생긴 이래로 가장 많은 사람들이 거제면을 찾아 왔다고 할 정도로 15만의 관람객을 유치하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웠다고 합니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들의 노고에 갈채를 보내지 않을 수 없는 대목입니다.

거제시에는 대략 10여개의 지역축제가 있습니다. 1월1일 신년 해맞이 행사(주무부서:관광과)를 시작으로 거제도 국제 펭귄 수영축제(관광과), 2월엔 거제 고로쇠약수축제(관광과), 4월 초순엔 대금산 진달래 축제(관광과)를 비롯해 거제도 봄꽃 및 숭어축제(관광과), 5월엔 능포 양지암 축제(능포동), 6월의 옥포대첩기념제전(문화체육과), 7월의 해양스포츠 바다로 세계로(관광과), 그리고 10월 한 달 동안은 거제예술제(문화 체육과)를 비롯해 거제 시민의 날 행사(행정과) 10월 말부터 시작되는 거제 섬꽃 축제(농업기술센터)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이상에서 보듯 대부분의 행사 주무부서가 관광과를 비롯해 거제시청 본청에서 이루어지고 섬꽃 축제만이 농업기술센터에서 관장을 하는데 최고의 흥행(?)기록을 세웠으니 이는 관계자뿐 아니라 전체 농업계의 위상을 드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뿌듯함에 부르튼 입술을 막걸리 잔으로 축이면서 쏟아내는 주무과장의 그 열정에 농업인의 한 사람으로서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지금까지가 작은 예산으로 일궈낸 섬꽃 축제의 오늘입니다.

필자가 속한 농업경영인회 또한 향토음식점을 운영하면서 축제의 흥겨움이 풍성한 먹거리와 함께 더욱 신명이 나도록  열심히 뛰었던 열 하루였습니다.

집에서는 '물!' 한마디로 끝내는 시골 꼴통 보수 아저씨들이 앞치마 두르고 쟁반 들고 다니며 혼쭐 난 열하루이기도 했습니다.  찾아주는 지인들이 건네 준 막걸리의 적당한 취기가 막바지 한잔으로 이끌면 어느덧 관객이 빠져나간 객석을 보듯 축제의 의미를 되짚어 봅니다. 

△축제명: 거제 섬꽃 축제 △주무부서: 농업기술센타 △개최횟수: 5회 △개최 기간: 10일 △행사내용: 가을꽃 전시, 농업 체험, 지역 농특산물 판매장 운영 △축제 예산: 1억8,300만원 △축제 종류: 기타 △주최/주관: 거제시.

농업 예산으로 치러지는 축제임에도 다소 앞뒤가 맞지 않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축제는 있으나 농업은 주변에서 묻어가는 듯한 서운함도 어찌할 수 없습니다.

이솝우화 하나가 생각납니다.

작은 숲 속에 사는 새들이 어느 날 자신들의 왕을 선출하기로 하였는데, 공작이 나서며 "왕은 그 아름다움이 특출나야 하며 이 정도는 되어야 합니다" 하고 꼬리털을 부채처럼 쫘악 펴며 화려한 자태를 뽐냈습니다.

대부분의 새들이 별 반대 없이 아름다운 공작을 왕으로 결정지으려고 할 때 까마귀가 말했습니다. "왕관을 쓰기 전에, 독수리가 우리를 덮치려고 할 때 어떻게 할 것인지 먼저 말해 보시오!"  공작새는 대답할 수 없었고 다른 새들은 누가 그들의 왕이 되어야 할 것인가를 다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작은 숲 속에 사는 새들이 그들의 왕을 뽑는 지혜를 발휘하듯 농업기술센타 직원들과 우리 농업인 그리고 거제 면민들이 합심하여 모처럼 잘 일구어진 축제가 공작새의 화려한 깃털같은 꽃의 잔치에만 머무르지 않고 진정한 목적에 부합되도록 만들어 나갈 때 축제의 가치가 더욱 생명력을 발하리라 봅니다.

그럴 때 지역 주민들의 드높은 관심과 호응을 얻을 수 있고 멀리서 찾아 온 관람객들 또한 그 가치를 나누어 가질 수 있지 않을까요? 신과 사람과 꽃이 모두 기뻐할 수 있는 그런 섬꽃 축제로 거듭나는 내일을 기대해 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