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 대응…확전 우려…전작권까지
강경 대응…확전 우려…전작권까지
  • 이영주ㆍ박혜림 기자
  • 승인 2010.12.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평도 도발에 대한 거제 시민들의 생각은?

◇ 일반 시민

△ 남·29 = 안일한 대처에 짜증이 난다. 북한이 공격을 했을 때 같이 공격해서 강하게 밀어 붙여야 했다. 한번 뒤집어  엎어야 한다. 북한이 도발을 하면 선 조치 후 보고를 해야 한다.

△ 여·24 = 강경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초반 대응이 북한에 비해 약했다. 북한의 도발 때문에 불안하다. 우리가 먼저 도발을 하면 안 되나. 다른 부분보다 국가가 연평도 주민들에 대한 조치가 너무 늦다.

△ 남·30 = 강경하게 대응한다는 말은 국민 정서를 생각해서 하는 말인 것 같다. 결국 전쟁 나면 다 죽는 것인데 국민들 여론에 대해 말 바꾸는 것이 안좋아 보인다. 한 가지 방향을 고수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

△ 남·32 = 전쟁이 나는 것을 원치 않지만 정부 대응이 너무 늦었다. 솔직히 지금 우리나라는 미국 등지에 기대고 있는 입장이다. 일촉즉발인 이 시점에 이명박 정부가 너무 소심하게 대응책을 내놓는 것 같다.

△ 남·40 = 북한의 연평도 도발은 분명 원통한 일이다. 기본적으로 대응을 강력하게 하되 전쟁으로 확대되는 일만은 막아야 한다. 우리 군의 대응이 미비한 부분이 있기는 했지만 북한의 도발에 그 정도 즉각적인 대응을 했다는 건 적절했다고 본다.

△ 남·41 = 북한은 명백히 고의적으로 남한 영토에 폭격을 가했다. 천안함 사태 때도 마찬가지였다. 정부의 대응이 분명 미비했다. 추가 도발에 대비해 병력을 증가시키고 강력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 남·58 = 서로 민감하게 자극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이번 연평도 사건도 NLL(북방 한계선)에서 했던 훈련이 빌미가 돼서 일어난 걸로 알고 있다. 남북이 너무 가깝게 붙어 있으면서 훈련을 해 서로를 자극시킨 게 화근이었다. 정부는 적절하게 대응을 하되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며 전쟁으로 확대되서는 안된다.

△ 여·50 = 이명박 정부가 잘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더 강력하게 나갔으면 좋겠다. 미국도 우리에게 힘을 보태고 있기 때문에 전쟁이 나지는 않을 것 같다.

△ 남·62 = 전쟁 나도 된다. 한국 군인이 많이 태만해져있다. 예전에 우리는 3년 6개월씩 군복무를 했는데 요새는 2년 밖에 안 한다. 군기가 많이 빠졌다. 쌀은 썩어도 안 줘야한다. 그걸로 무기를 산다.

△ 남·86 = 민주당·진보신당에서 나서서 북한 응징에 강력히 나서야 한다. 중요한 건 행동이다. 행동으로 강력하게 대응을 해야 북한의 추가 도발을 막을 수 있다.

◇ 학생

△ 여·15 = 처음 뉴스에서 북한의 연평도 폭격 사건을 접했을 때 너무 무서웠다. 이대로 전쟁이 나는 것은 아닌가 너무 걱정스러웠다. 정부가 14분 만에 대응했다고 하는데 너무 늦지도 빠르지도 않은 비교적 적절한 대응이 아니었나 생각한다.

△ 여·17 = 정부의 대응이 불안하다. 연평도에서 피해를 입은 주민들이 너무 불쌍하고 도움을 주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사람들이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가 좀 더 세게 나가야 한다.

◇ 시민사회단체

△ 여·41 = 국민들을 전쟁의 공포로 몰아넣는 것은 정부가 할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긴장상태를 풀고 분위기를 풀어야 할 것이다. 긴장상태가 유지되는 것은 교섭능력 없는 무능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 남·50 = 천안함 사건 있었는데 그 때 앞으로 북한 도발에 응분의 댓가를 치르게하겠다는 등  강력한 대응을 표명했었다. 그럼 연평도 도발에 대해 거기에 준하는 강력한 대응을 했어야만 했다.

◇ 정치인

△ 시의원1 = 명백한 도발이다. 반드시 몇 배로 응징해야 한다. 이미 천안함 사태 때 예견됐었던 일이다. 현재까지 정부 대응이 미흡했다. 보다 많은 예산을 투입하더라도 안보와 국력 증강에 집중해야 한다. 안보가 지켜져야 복지·경제·사회 등 모든 활동들이 보장된다.

△ 시의원2 = 정부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좌파 대통령이라는 소리를 들으면서도 전시작전권 환수를 추진했지만 무위로 끝났다. 국가 존립 자체가 걸려있는 일인데도 자주권이 없다보니 우리 임의대로 대응하지 못한다는 게 얼마나 어처구니 없는 일인가.

△ 시의원3 = 정부가 제대로 대응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황이 갈수록 악화되는 것이다. 이는 MB 정부가 '햇볕정책'을 포기하면서부터 예견됐던 일이라고 볼 수 있다. 강경론은 통일 후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강경론은 반대를 한다.

◇ 공무원

△ 남·41 = 강경하게 대응을 해야 하지만 국제적인 이미지라던지, 강경 대응시 전쟁 등 더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에서 조심스러운 부분은 없잖아 있는 것 같다. 정부에서도 심사숙고하고 있는 만큼 시일을 갖고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 남·56 = 도발 전부터 대응이 약했다. 천안함 사건 때부터 대처했어야 했는데 그러질 못했다. 국제 정세와 맞물려 있는데도 여태껏 국력을 등한시 해왔다. 북한이 공격을 했기 때문에 우리도 맞대응을 해야 한다는 반대급부는 가지지 않는다.

◇ 언론인

△ 남·34 = 정부가 대응을 잘못한다는 보편적인 국민들의 의견에는 동감한다. 분명한 도발이지만 무력 대응은 시기상조며, 추가 도발 우려도 있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 군사 재배치 등 실질적인 움직임을 보임과 동시에 북측에 추가 도발에 대한 경고성 발언을 보내는 등 명확하게 선을 긋고 있어야 한다.

△ 남·37 = 강력한 대응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 당장 맞대응을 해봤자 결과는 전쟁이라는 무시무시한 결과를 초래할 뿐이다. 도발과 관련해 현재 북한이 원하는 게 무언지, 무엇 때문에 이 같은 도발을 저질렀는지 그 이유를 먼저 명확히 밝혀내야 한다. 아울러 국방태세에 대해 재점검을 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 조선소 근로자

△ 남·31 = 우리는 지금 전시 상황이다. 휴전을 했을 뿐 전쟁은 끝난 게 아니다. 전시 상태인 것을 충분히 인지하고 즉각적인 대응을 했어야 했다. 군대도 안간 14명이 지하 벙커에 앉아 무슨 대책이 나오겠는가. 결국 가장 큰 문제는 현 정부의 외교적 무능이다.

△ 남·40 = 제대는 했지만 당장이라도 현장에 나가서 싸우고 싶은 심정이다. 지금 사회나 언론이 자꾸만 군대를 기피하는 방향으로 흘러가는데 그래서는 안된다. 원래 해병대 정신은 당하면 몇 배로 갚아줘야 한다. 북한 도발에 맞서는 정부의 초기 대응이 너무 약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