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성 - 시민운동 건강성·보편성·협리성 견지
반대 -
이익·압력단체 오해소지 막을 수 없다
시민·사회단체를 망라한 가칭 ‘거제지역 시민단체연대협의회’를 구성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그러나 일부 단체에선 대꾸할 가치도 없다는
의견도 있어 시민단체연대회의보다 확대된 규모의 협의기구는 어려울 전망이다.
가칭 ‘거제지역 시민단체연대협의회 구성을 위한 준비위원회(위원장 강학도 거제YMCA 이사장)’는 최근 거제지역 시민·사회단체에 드리는 글을 통해 시민단체연대협의회 구성을 제안했다.
준비위는 이 글에서 “최근 지역내 현안마저도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으로 대두됨에 따라 각 시민단체마다 시각과 대응방식이 서로 다른 등 이견 조율이 쉽지 않아 새로운 운영방식으로의 변화가 필요한 시졈이라면서 “그동안 상설화 돼 있었던 시민단체연대회의를 발전적으로 해체하고 좀더 확대된 규모의 새로운 협의기구를 구성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 “2007년부터는 새로운 연대협의체를 통해 각종 현안문제에 대해 보다 능동적이고 순발력있게 접근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거제지역의 시민단체, 환경단체, 여성단체, 법률단체, 소비자단체, 교육단체, 노동단체를 포괄, 가칭 ‘거제지역 시민·사회단체연대협의회’의 구성”을 제안했다.
특히 “여기엔 기존 거제경실련, 거제YMCA 거제YWCA, 거제·통영환경련, 민주노총거제지역협의회, 참교육학부모회 거제지회와 초록빛깔사람들, 거제시가정폭력상담소, 거제시성폭력상담소, 거제시여성회 등을 포함하고자 한다”면서 “이들 가운데 참여를 원하거나 원하지 않는 단체들은 각 단체마다 내부논의를 의사표명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준비위는 “이번에 제안한 연대협의회는 거제지역 뿐만 아니라 인류사회의 보편적 가치를 바탕으로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노동 교육 통일 여성 환경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제반 문제들에 대해 사안별로 효율적으로 공동 대응하며, 대응방식에 있어서도 시민운동의 건강성, 보편성, 합리성을 견지해 나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각 단체마다의 특성과 전문성이 존중되고 연대협의회에 속한 각 단체들이 상호 신뢰속에서 현안문제와 공동의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해 나감으로써 연대협의회가 지역사회에서 건전한 비판과 합리적 대안을 모색해 나가는 시민의 중심에 서서 시민과 함께 호흡하는 연대협의기구로 자리매김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합리적 대안 위해 필요”
찬성 쪽 단체 관계자는 “분명히 염려되는 부분도 있지만 한 사안에 대한 각 단체들의 커지고 있는 입장차를 줄이고 일반화 하는 논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가칭 연대협의회 구성에 찬성한다”고 말했다.
또 “한 사안에 대한 찬반이 팽팽하게 맞설 경우 오히려 서로의 입장에 대해 서로 이해할 수 있는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연대협의회가 구성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찬성하는 시민들은 “각 시민단체들이 서로의 목적과 뜻에 따라 한 사안에 대한 찬반이 엇갈릴 경우 대안을 찾아내기가 어렵다”면서 “서로의 입장차이를 줄이고,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대안을 찾아내기 위해서라도 새 협의체 구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시민단체 본질 훼손”
반대 쪽 단체 관계자는 “대꾸할 가치도 없어 못 본 것으로 하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또 다른 단체 관계자는 “시민단체와 사회단체는 엄연히 목적상 구분돼 있는 만큼 각 단체마다 본질이 있는데 그 본질을 훼손할 염려가 있어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며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다.
특히 “모든 시민·사회단체들이 참여, 한 목소리를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익·압력단체로의 변질 등 부작용에 대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된다 하더라도 이익·압력단체로의 오해소지는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대하는 시민들은 “각 단체에서 다양한 목소리가 나올 경우 협의체가 아니더라도 사안에 대한 간담회 등을 통한 협의로도 충분한데 굳이 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는 데는 찬성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