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시가 지난 7일 입법예고한 조직개편안에 대해 거제시의회(의장 황종명)가 제동을 걸고 나섰다.
지난 17일 열린 의원간담회에서 시의원들은 조직개편에 대한 당위성 부족, 부실한 사전조사, 의회 기능 무시 등을 질타하며 의회 차원의 개편안을 제시할 방침을 분명히 했다.
이처럼 시의회가 새로운 조직개편안을 두고 크게 반발한 것은 전체적인 골격을 바꾸는 조직개편 방향이 의회 기능을 무시한 채 이뤄졌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거제시가 입법 예고한 대로 조직이 개편되면 총무사회위원회와 산업건설위원회의 소관 부서가 변경될 수 밖에 없다. 이렇게 된다면 6대 의회 개원 후 체계가 잡혀가고 있던 상임위 업무가 한순간에 물거품이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또 기존 산건위가 담당했던 부서가 총사위 소관으로 이전될 수밖에 없어 이에 따른 양대 상임위 간 균형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시에서는 국·사업소 단위가 아닌 각 과별로 상임위 소관부서가 정해질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지휘체계 혼선에 따른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것이 현실이다.
시의원들은 "이번 개편안은 조직구성의 골격을 흔들어 놓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조선관광산업국을 없애고 기획조정실을 국(局)으로 승격시키려다보니 해양분야의 중요도가 크게 떨어지고 말았다"고 비난했다.
이어 "양대 상임위 소관 부서가 뒤섞여 버리면 6대 의회 개원 후 진행해 온 모든 것에 제동이 걸릴 수밖에 없다"며 "기존 조직을 한 번에 변화시키려는 발상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성격이 다른 부서를 뒤섞은 점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기획과 집행 기능이 한 곳에 몰린 주먹구구식 개편으로는 조직의 효율성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 이날 시의회는 폐지가 예고된 조선관광산업국의 존치를 요구했다. 해양분야의 중요도가 너무 소홀히 다뤄진 점에 대한 반발이다.
또 신설 예고된 기획조정실에 대한 의견도 제시했다. 기획조정실은 기획예산과 행정, 회계, 세무 등의 기획기능만 담당하고, 조선&산업과를 집행·사업부서로 두자는 방안이었다. 관광과는 조직개편 이전의 자리에 존치할 것을 제안했다.
시의회 제시안이 받아들여질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집행부의 일방통행적 개편안에 대해 시의회가 제동을 걸고 나선만큼 조직개편안 확정까지는 어느정도의 진통이 뒤따를 전망이다.
한편 이번 조직개편안은 오는 27일까지 의견수렴과정을 거친 뒤 2월 초 열릴 예정인 시의회 임시회에서 심의 의결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