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면 무상급식, 20·30대 압도적 지지…찬성, 반대보다 10% 높아
경남지역 도민들은 학생들의 체벌금지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고 따라서 '학생체벌금지 조례' 제정에 대해서도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과 경기지역에서는 학생체벌을 조례로 금지하고 있다.
경남신문이 지난달 22일부터 23일까지 도민 103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다.
이 조사에 따르면 학생체벌 금지조례를 추진하는 것에 대해 9.9%가 '적극 찬성', 22.4%가 '대체로 찬성'이라 답해 찬성은 32.3%에 그쳤다. 반면 18.7%가 '적극 반대', 44.3%가 '대체로 반대'를 표시해 반대가 63.0%로 찬성보다 30.7%포인트 높았다.
경남도민들은 학교교육에 있어서 체벌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는 대목이다. 남성(67.8%)이 여성(58.4%)보다, 시 지역(63.4%)이 군 지역(61.5%)보다 체벌 금지조례에 대한 반대가 높았다.
또 나이가 많을수록 학교체벌 금지조례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반대비율을 보면 60대 이상이 70.6%, 50대 63.2%, 40대 61.3%, 30대 60.0%, 20대 이하 59.9% 순이었다. 또한 전면 무상급식 실시에 대해 경남도민들은 대체로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22.5%가 '적극 찬성', 29.6%가 '대체로 찬성'이라 답해 찬성이 52.1%였다. 16.2%가 '적극 반대', 26.0%가 '대체로 반대'해 찬성이 반대보다 9.9%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연령으로 보면 젊은층은 무상급식에 대해 찬성했으며, 노년층은 반대했다. 30대(70.4%)와 20대 이하(65.9%)가 압도적으로 지지했으며, 50대의 56.9%와 60대의 54.2%는 반대했다. 여성(56.4%)이 남성(47.8%)보다 많았다.
지역별로 보면 시·군지역 모두 찬성이 높았다.
한편 사교육비로 월 평균 20만~50만원 미만을 지출한다는 비율이 응답자의 34.0%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50만~100만원 미만은 22.2%이었다. 100만원 이상의 사교육비를 쓰는 가정은 5.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40대의 사교육비 지출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00만원 이상의 사교육비를 쓰는 응답자를 연령별로 보면 40대가 9.5%로 전체 평균보다 높았고 50만~100만원 미만의 사교육비를 쓰는 응답자 중에서도 40대가 32.8%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30대(23.5%), 50대(17.3%)순이었다. 사교육을 안 시킨다는 응답자는 22.5%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