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 LNG 공급 시기가 당초 계획보다 크게 늦어질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한국가스공사가 사업예산을 잘못 책정해 도중에 사업비가 95억원 늘어났고 해저노선 건설시 발생되는 준설토의 투기장으로 예정됐던 부산 신항도 용량부족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사실이 드러났기때문이다.
감사원은 "한국가스공사가 지난 2009년 통영~거제 간 액화천연가스(LNG) 주배관 공사를 하면서 어업보상비 등을 고려하지 않고 노선을 선정해 95억원 이상의 사업비가 추가로 들어가게 됐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감사원은 지난해 9~10월 LNG 생산 및 공급사업 추진실태에 대한 감사를 실시, 이같은 문제점을 적발하고 가스공사 사장에게는 노선 변경 조치를 통보하고, 감독관청인 지식경제부 장관에게는 관련자에 대한 주의를 요구했다.
감사원에 따르면 가스공사는 통영~거제 간 주배관 노선 결정 과정에서 해저노선의 경우 어업보상비 명목으로 267억5,200만원이 소요됨에도 이를 포함하지 않고 육지노선의 공사비만으로 비교해 이 노선을 선택했다는 것이다.
당시 공사비는 해저노선이 1,026억9,000만원, 육상노선이 1,199억2,000만원으로 산출됐지만, 어업공사비를 고려하면 오히려 해저노선 공사비가 더 많은 상태였다.
그러나 가스공사는 해저노선으로 공사하려면 막대한 어업보상비가 소요되고 공유수면 점·사용 허가, 해역이용협의가 필요한 데도 관련 기관과 인·허가 가능성에 대한 사전협의도 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주배관 23.3㎞ 가운데 8.8㎞를 차지하는 해저 관로 공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34만4000여㎡ 규모의 준설토도 관계기관과 협의 없이 거리가 30㎞ 떨어진 부산신항 인근을 투기장으로 선정했지만 이마저도 용량 부족으로 사용할 수 없는 상태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