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색된 잇몸 때문에 마음껏 웃지 못한다고요?
변색된 잇몸 때문에 마음껏 웃지 못한다고요?
  • 거제신문
  • 승인 2011.04.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준호 향기로운치과 원장

금속 성분 포함된, PFM 보철 저렴함이 장점
잇몸 얇은 환자에 그림자 현상 나타나 '불편'
조영 현상 확실하면 올세라믹으로 교체해야

혹시 잇몸 색이 다른 사람과 다르신가요? 그래서 크게 웃지 못하시나요? 그렇다면 이 글을 잘 읽어보세요. 오늘부터 몇 회에 걸쳐 해결책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주로 네 가지 이유로 잇몸이 어두운 색조를 띕니다.


 (1) 금속 성분이 포함된 치아 보철을 한 경우
 (2) 잇몸에 멜라닌 색소가 많은 경우
 (3) 잇몸 염증으로 인한 울혈이 있는 경우
 (4) 치아의 뿌리가 변색된 경우
 지면 관계상 오늘은 (1)번에 대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PFM이라고 일컫는 치아 보철의 경우 잇몸의 변색이 생기기 쉽습니다. PFM은 비교적 쉽고 저렴하게 치아색 보철물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198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널리 통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내부의 금속 때문에 색조가 다소 탁하고, 금속 알레르기가 심한 분께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PFM 보철의 경우, 잇몸이 밝고 얇은 환자분 혹은 치아가 가늘어서 충분한 두께의 보철물을 만들 수 없는 환자분에서 그림과 같은 조영(그림자) 현상이 나타납니다. 그림 네 개 중, 위쪽 두 개는 조영 현상이 없는 경우이고, 아래 두 개는 조영 현상이 나타난 경우입니다.

PFM 보철물을 할 경우 잇몸 쪽에 검푸른 변색을 종종 보는데, 이는 그림과 같은 '빛의 반사 때문에 생긴 그림자'입니다. 당연한 얘기이지만, 조영 현상 때문에 생긴 잇몸 변색은 PFM 보철물을 제거하면 없어집니다.

어떤 경우는 제거한 뒤 몇 일의 시간을 두고 잇몸 색이 돌아오기도 하는데, 이는 조영 현상 뿐만 아니라 다른 원인(잇몸 울혈 등)도 동반했기 때문입니다. 해결책은 단순합니다. 조영 현상이 확실하다면, PFM 보철물을 제거하고 올세라믹으로 통칭되는 '금속 없는' 보철물로 교체하는 것입니다.

올세라믹에는 지르코니아 계열, 다이-실리케이트 계열, 장석 계열 등등 무척 많은 종류가 있으며, 상품명으로 따지면 수십종에 이르는 재료가 나와있습니다.

어떤 재료를 쓸 것인가는 치과의사와 치기공사가 판단할 문제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겠습니다. (2)멜라닌 색소 등의 내용은 다음 글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사진설명1) 일본의 치과의사 오바마 타다카즈 선생 책에서 인용한 사진.


(사진설명2) PFM에 의한 잇몸 변색 증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