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꾸준히 치료하면 완치율 높다
결핵, 꾸준히 치료하면 완치율 높다
  • 김경옥 기자
  • 승인 2011.05.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건복지부, 결핵예방법 개정…난치성 결핵환자 입원명령 강화

(사진설명) 지난 3월 24일 서울 그랜드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보건복지부 주최 '결핵예방의 날' 행사에서 결핵퇴치 트위터 홍보단 위촉식이 열렸다
지속적인 국가차원의 결핵관리에도 불구하고 OECD 가입국 중 결핵사망률 1위라는 불명예가 계속되자 보건복지부가 2011년 결핵예방법을 개정하면서 발병과 확산 방지를 위한 관리를 더욱 강화했다.

실제 결핵은 공기중으로도 감염이 되기 때문에 결핵환자와의 신체적인 접촉이 없더라도 감염될 수 있다. 하지만 결핵균을 접했다 하더라도 97%정도는 자기면역체를 통해 자연치유된다.

또한 결핵은 걸렸다고 할지라도 꾸준한 치료만 해준다면 완치율도 높은 질병이다. 하지만 꾸준한 치료가 이뤄지지 못하면 결핵균에 내성이 생긴 다재내성 결핵이라는 수퍼결핵으로 발전하게 된다.수퍼결핵에 감염되면 5~6년 안에 50%정도가 사망에 이르게 되는 치명적인 결핵균이다.

다재내성결핵으로 인한 발병환자가 증가하자 보건복지부가 결핵예방법을 개정해 강제규정을 신설한 것. 개정된 결핵예방법에 따르면 전염성 결핵환자 중 치료 비순응자와 난치성 결핵환자(다제내성결핵 등)에 대해서는 입원명령을 강화하고 이에 따른 입원비 중 본인부담금 전액과 생활이 어려운 경우에는 부양가족 생계비도 지원해준다.

만약 결핵환자가 입원명령을 거부하면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된다. 또한 저소득층에 대한 부양가족생계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소득이 2011년도 가구별 최저생계비의 300% 미만일경우로 4인 가구 기준 2011년도 국민 최저생계비 현금급여기준은 117만8,496원이다.

거제시보건소에 따르면 2011년 5월 현재 관내 결핵환자는 보건소와 병·의원 등 의료기관을 합해 81명이고 강제입원을 당할 처지에 있는 환자는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