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쓰레기…역시나 대안 없었다
낙동강 쓰레기…역시나 대안 없었다
  • 이영주 기자
  • 승인 2011.09.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발련 대책 마련 세미나 개최…원론적 이야기만 오가

 경남발전연구원이 '낙동강 쓰레기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지난달 31일 거제시청 대회의실에서 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세미나에는 지역내 어민 50여명이 참석해 열띤 토론을 펼쳤으나 참석이 예정됐던 국토해양부 관계자들이 불참해 아쉬움을 남겼다.
해마다 반복되고 있는 낙동강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토론의 장이 열렸다.

경남발전연구원(이하 경발연)이 '낙동강쓰레기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지난달 31일 거제시청 대회의실에서 세미나를 가진 것. 이날 토론회에는 지역내 이·통장 및 어민 50여명이 참석했다.

주제발표자로 나선 홍선옥 동아시아바다공동체 대표는 '낙동강 쓰레기' 문제의 현상과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대책을 제안했다.

홍 대표는 집중호우로 인해 강 상류 및 지천의 쓰레기가 본류로 유입, 하류 지역 지자체의 피해가 유발되고 있다고 낙동강 쓰레기 문제의 현상을 설명했다. 이로 인해 유발되는 문제점으로는 관광수입 감소, 어구 및 어장 환경 훼손으로 인한 어업피해, 지자체 처리 비용 증가 등을 꼽았다.

홍 대표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바다쓰레기를 '치우기에서 줄이기'로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오염 원인에 대한 책임을 강화하고 사전예방적 접근을 통해 쓰레기 유입 자체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양쓰레기 저감정책으로는 낙동강유역쓰레기 공동책임관리제, 강하천 쓰레기 차단막 설치 등 정책의 병행 추진을 제시했다.

지찬혁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초목류 쓰레기 유입이 심각한 만큼 낙동강 수계지역 지자체가 장마철 이후로 초목류 정비시기를 늦출 것을 제안했다.

원희 어업진흥 과장은 "낙동강 쓰레기 문제는 원인제공자들의 책임회피로 거제시만 고스란히 피해를 보고 있다"며 "낙동강유역환경청과 수자원공사가 공조해 '대책 마련 및 처리비용예산'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어민은 "원인제공자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쓰레기 줄이기가 어렵다면 처리비용만이라도 줘야 하는 게 아니냐"고 말했다.

또 다른 시민은 "국가적인 문제다. 원인제공자를 찾자면 쓰레기가 넘어오는 해외까지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시에서 팀을 구성해라. 국가적 차원에서 현상 확인부터 수거, 처리까지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조치해 달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 참석하기로 예정돼 있었던 국토해양부 관계자들은 불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