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로수용소 유적공원 476억원 출자, 공사 실패 경우도 대비"
한기수 거제시의회 의원이 거제해양관광개발공사(이하 개발공사) 설립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섰다.
한 의원은 "다양한 자료를 파악하고 분석한 결과, 현재까지 전국에서 관광공사를 운영해 흑자를 유지하는 지방자치단체가 거의 없는 실정으로 나타났다"며 "공사 설립 단계에서부터 확실한 수익사업을 통해 당기순이익을 실현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지난달 28일 밝혔다.
한 의원은 "제주관광공사는 특별법에 의한 내국인 상대 지정 면세점 운영으로, 경북관광개발공사의 경우 경주 보문단지 운영과 골프장 및 오락실 운영 등으로 당기순이익을 내고 있다"면서 "반면 인천관광공사나 태백관광개발공사 등 전체의 절반 이상이 공사 설립초기부터 타당성조사 과정의 부실과 무리한 사업 추진 때문에 만성적자에 허덕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거제포로수용소 유적공원 현물출자에 대한 부정적 견해도 피력했다.
한 의원은 "포로수용소유적공원을 현물가치로 따져 476억원을 출자한다는 것은 사업이 잘못됐을 때 경매처리도 될 수 있다는 뜻"이라면서 "거제시에서 유일하게 흑자를 내고 있는 곳인 만큼 공사가 실패했을 때를 대비한 구체적인 시나리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의원은 세부적인 추진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는 점도 지적했다. 그는 "사업을 추진하는 초기단계에서부터 흑자 전환은 힘들겠지만 장기간 추진해야 하는 관광산업에서 흑자 전환 계획이 타당성 보고에 빠져 있다는 것은 미래를 예측하기가 힘들다는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라면서 "이는 용역사가 담당공무원의 과업지시서 내용을 특별한 분석 없이 나열식으로 정리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다양한 계층의 시민의견 청취와 공청회, 토론회 등을 통해 개발공사 설립 문제에 접근해야 한다"며 "단지 시장공약 사업이라는 명분만으로는 시민들의 동의를 얻어내기 힘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 의원은 "무조건 하지 말자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시민들에게도 내용을 잘 알리고 이해시켜 시민들과 함께 성공시킬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거제시는 지난 8월말 거제해양관광개발공사 설립 및 운영조례안을 입법예고하고 오는 5일에 열리는 거제시의회 제147회 임시회에 조례안을 제출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