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에 도시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한국가스공사가 추진 중인 통영-거제 주배관가스공사가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주배관공사가 마무리되야 경남에너지에서 거제 도심으로 배관 공사를 진행, 차질없이 거제에 도시가스를 공급할 수 있지만 가스관이 매설되고 각종의 관리동이 들어서야 할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대는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거제에 도시가스를 공급한다는 당초의 계획 역시 장기간 표류하며 빨간불이 켜졌다.
우선 거제의 경우 VS시설(배관의 긴급 상황 발생 및 설비 유지보수 시 가스를 차단, 배관 내 가스를 대기중에 방산하는 기능)이 들어설 예정인 성포지역의 주민 반발이 거센 상태다. 지난 5월 성포주민들은 VS시설 반대추진위원회를 만들어 집단행동에 나서기도 했다.
현재 가스공사 측이 해당 필지의 90%를 매입해 그 만큼의 주민반발은 수그러들었지만 해당 시설에 대한 우려와 반대정서는 여전하다.
성포리 한 주민은 "시설입지에 대한 주민들의 우려가 크다. 이에 대한 배려나 합리적인 설득 등 노력 없이 밀어붙이는 식으로만 하는 게 문제다"고 말했다.
연초면의 경우도 상황은 마찬가지. 연초면 연사리 1231-25필지 일원에 들어서는 거제GS(고압으로 수송된 천연가스를 일정압력으로 감압 공급하는 기능)에 대해 연초 면민들이 격렬한 집단반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마을 주민들은 GS시설을 연초면 외곽으로 이전해 줄것을 강력히 요구하며 가스공사 측과 대립하고 있다.
주민 반발은 통영에서도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말 가스공사는 통영가스생산기지에서 거제 연결을 해저관로에서 육상관로로 그 매설 공법을 변경했다. 사업비 과다와 어장 등을 소유한 어민들의 반발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제 육상관로를 매설해야 하는 땅 소유자들 및 주민들의 반발에 또 부딪히고 있다.
특이한 점은 통영시와 의회까지 함께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점이다. 통영시는 가스공사의 두 차례에 걸친 관로매설을 위한 지방도 굴착 심의요청을 거부했으며 통영시의회 역시 28일 본회의서 '통영-거제 배관공사 육상노선 시공 결사반대' 결의안을 채택했다.
통영시의 경우 "사전에 주민설명회 등을 통해 동의를 얻은 후 사업을 시행해야함에도 편의적으로 밀어붙이는 식은 맞지 않다"는 입장이다.
통영시의회 이장건 의원은 "국책사업에 대해 반발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신중치 못하게 해저에서 육로로 노선을 변경한 것은 문제가 있다. 비용면에 있어서도 큰 차이가 없는 만큼 당초안처럼 해저로 가는 것이 맞다"고 지난 27일 말했다.
지역주민들은 "우리 지역에 좋을 것이 뭐 있는가"며 반대하고 있고 이에 해당 지주들은 땅을 내놓으려 하지 않고 있다. 거제도시가스공급 계획에 큰 차질이 우려되고 있는 배경이다.
한국 가스공사 관계자는 "11월 안으로 각종 인허가 절차가 떨어지면 공기를 맞추는 데는 지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밤을 잊고 공사를 하는 한이 있더라도 당초 계획에 맞춰 공사를 진행할 것"이라며 "이 공사의 취지가 거제 지역민들에게 안전하고 저렴한 천연 가스 공급을 하기 위한 것임을 지역민들이 이해해 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거제 도시가스 공급을 위한 통영-거제 주배관 건설공사는 사업비 1,020억원이 소요되며 지난 2009년 6월 공사를 시작했다. 준공예정은 2012년 12월이다. 한국도시가스의 주배관공사가 내년 12월 마무리 되면 이어 경남에너지가 고현, 옥포, 아주, 장승포 순으로 연결 배관 공사를 진행, 거제 주요 도심지에 도시가스를 공급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주배관 공사가 마무리돼야 경남에너지에서 거제 도심으로 배관 공사를 이어갈 수 있다"며 "현재 한국도시가스공사의 주배관공사 공기가 불투명해지는 상황에서 거제 도심지에 언제 도시가스가 공급될런지는 누구도 기약할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