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진보 세력 승리 가능성, 거제는 충분"
"민주 진보 세력 승리 가능성, 거제는 충분"
  • 김경옥 기자
  • 승인 2011.11.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강미길 경남 혁신과 통합 공동대표

"통합 정당, 민주·진보세력 총선 승리 유일한 방법…시민 관심·참여 필요"

 

- 혁신과 통합은 어떤 단체인가.
△ 야권 통합만이 내년 총선을 승리로 이끈다고 생각하는 시민정치조직이다. 이번 서울시장선거에서 야권이 이겼는데 정당과 시민단체 등이  함께 한 결과다. 선거연대로는 야권승리를 보장받지 못한다. 연대를 이룬 많은 지역에서 패한 결과를 보면 안다.

△ 야권 통합만이 내년 총선을 승리로 이끈다고 생각하는 시민정치조직이다. 이번 서울시장선거에서 야권이 이겼는데 정당과 시민단체 등이  함께 한 결과다. 선거연대로는 야권승리를 보장받지 못한다. 연대를 이룬 많은 지역에서 패한 결과를 보면 안다.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야권이 승리하기위해서는 반드시 야권이 하나의 정당 속으로 묶여야 한다. 각 정파를 인정하면서도 하나의 큰 정당으로 존재하는 연합정당 개념이다. 이를 추동하고 성사시키기위해 만들어진 정치세력이다.

- 거제지역 혁신과 통합 움직임은 어떤가
△ 거제지역 추진위원회가 최근 구성됐다. 20여명의 추진위원들이 함께하고 있다.
구체적인 일정이 아직 잡히지 않았지만 곧 추진위원들이 모여서 중지를 모을 것이다. 거제지역은 양대조선소가 있어 진보적인 성향이 결집할 수 있는 조건이 충분하다고 본다. 민주당, 참여당, 진보신당까지 아우르는 통합을 논의해 갈 것이다.  지금부터 적극적으로 소통해 통합을 이끌어내고 최종적으로 내년 총선에서 야권이 승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선거전략상 후보 단일화와 통합정당과의 차이는 뭔가?
△ 선거연대를 통한 후보단일화는 선거 기간 중에도, 당선된 후에도 어려움이 있다. 선거 기간 중에는 후부단일화를 약속했음에도 다른 당의 후보가 단일후보가 됐을 때 열성적으로 도와주기 힘들다. 후보단일화를 통해 승리한다하더라도 야권이 함께하는 정부의 구성이 어렵다.

그래서 혁신과 통합은 민주 진보세력이 총선에서 승리하고 이어 집권까지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정당통합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 국민의 명령과 혁신과 통합에서 활동하고 있다. 혹 계기가 있나?
△ 진보적인 성향을 가진 정치세력이 집권하기 위해서 야권이 하나로 뭉쳤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었지만 처음부터 지금과 같은 확신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국민의 명령 서명 참여 운동을 위해 길거리에서 시민들과 만나면서 확신이 들었다. 거리에서 만난 시민들은 야권통합을 원하며 서명에도 흔쾌히 참여해 주셨다. 시민들은 야권통합을 지향하는 우리의 활동을 야권의 새로운 움직임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같은 확신이 나를 이끌었다고 본다.

- 거제에 살면서 크게 느낀부분이 있다면?
△ 거제에서 20년째 살고 있다. 내 인생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거제에서 보냈다. 남편이 대우조선 근로자다. 대우조선 노동자투쟁을 겪는 남편의 모습을 곁에서 지켜봤다. 양대조선소로 소득이 높지만 해결돼야 할 노동문제 등도 산재해 있다. 여전히 계층분화는 심화되고 있고, 비정규직노동자 처우개선 등의 문제도 여전하다. 민주·진보적인 세력들이 힘을 모아 이러한 상황을 개선시켜 나갔으면 한다.
 
- 정치시민운동을 하는 활동가로서 거제 시민에게 바람이 있다면.
△ 지난 보궐선거 결과를 통해 희망을 보았다. 시민들이 관심을 가지고 참여했더니 정치가 바뀌었다. 정치란 우리 삶의 조건과 직결된 것이기에 어떠한 형태로든 시민들이 참여해 주었으면 한다.
'국민의 명령' 회원 수가 전국적으로는 18만, 거제에서만 1,000여명이다. 참여하면 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우리 사회를 바꾸고 우리 삶의 조건을 개선시키는 일에 시민들이 더욱 관심을 가져주었으면 한다. 

 

강미길 경남 혁신과 통합 공동대표는
△ 학력 : 부산대 졸
△ 약력 : 열린우리당 거제시의원 비례대표 출마(2006), 좋은거제만들기 준비위원, 백만송이 국민의 명령 경남소통위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