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매각 총선 최대이슈 되나
대우조선해양 매각 총선 최대이슈 되나
  • 배창일 기자
  • 승인 2011.12.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캠코 지분 매각절차, 총선 일정과 겹쳐 표심 영향 '관심'

내년 4월 치러지는 19대 총선에서 대우조선해양 매각문제가 최대 이슈 중 하나로 급부상할 전망이다.

대우조선이 보유한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이하 캠코) 지분 매각 절차와 국회의원 선거 일정이 겹치면서, 매각 방향과 내용이 거제지역 유권자들의 표심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지난달 30일 "대우조선 경영권과 직접 관련된 산업은행 지분 31.26%는 내년 매각이 어렵다고 판단돼 캠코가 보유한 지분 19.11%를 우선매각하는 것이 불가피해졌다"고 밝혔다.

위원회 관계자는 또 "캠코 보유 지분 매각은 연·기금 등을 적극 참여시켜 투명하고 깨끗한 지배구조를 만들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면서 "산업은행이 보유한 지분은 경영권 문제로 포스코 등 국내업체 가운데 조선과 관련되거나 제조업 중심인 기업들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공적자금관리위는 내년 1월 매각주간사를 선정하고 2~3월 중 매각방식 검토와 매각 방안을 수립, 4월 이후 본격적인 매각에 들어갈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캠코 지분 매각 사실이 알려지자 대우조선 노조와 지역정치권 등에서는 일단 바람직한 방법으로의 매각을 위한 내부논의와 여론수렴 등을 바탕으로 큰 틀의 대응방침을 정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복수의 관계자들에 따르면 대우노조는 대우조선해양의 국민기업화를 위해 모든 역량을 총동원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한 상태다.

이를 위해 현재 30%가 넘는 한국산업은행의 보유지분을 축소하고, 연·기금 등을 적극 참여시켜 국민연금관리공단의 보유지분을 늘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국민주 공모를 통한 국민참여 기회를 부여하고, 우리사주조합에 대한 성과급 성격의 지분을 배정한다는 복안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익명을 요구한 관계자는 "캠코 지분 매각은 공공적 성격이 우선돼야 한다"고 전제하고 "산업은행과 캠코가 보유한 지분을 경영안정주, 국민주, 국민이익공여주 등으로 구분해 정리하는 방안도 모색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우조선 지분 매각 문제가 수면위로 급부상하면서 지역 정치권 일부에서는 이 문제가 총선에 미칠 영향에 벌써부터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총선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한 지역정치인은 "일괄매각이 아닌 부분매각 방침으로 정해졌지만, 지역에서는 향후 매각 절차와 향방에 따라 정치이슈로 급부상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노조 집행부가 최근 지식경제부 등을 방문한 자리에서 노조의 참여를 보장해 달라고 촉구한 것으로 안다"면서 "정부의 선택에 따라 내년 총선에 미칠 영향력도 달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