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부모 방을 그린 학생은 한 명도 없었다고 한다. 출산율 하락과 노인인구 급증으로 인해 젊은 세대들의 허리가 휘고, 세대 간 갈등이 일어난다는 얘기는 여기서 시작된다.
경제학자 월트 로스토우(Walt Rostow)는 "인구 고령화 문제가 당장은 아니지만, 21세기의 가장 중요한 골칫덩이가 될 수도 있다"고 갈파했다.
'인디펜던트'지의 전 경제부장 폴 월리스(Paul Wallice)는 그의 저서 '증가하는 고령인구, 다시 그리는 경제지도'에서 '베이비붐 세대가 퇴직하는 2020년대의 고령화 충격 강도는 리히터 지진계로 9도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했다.
1956년 UN에서 고령화라는 말이 처음 채택된 이후 선진국들은 40년 이상 고령화 문제를 풀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연금고갈, 재정악화, 세대 간 갈등으로 값비싼 대가를 치르는 중이다.
뿐만 아니라 UN은 '세계 인구 고령화와 1950~2050 보고서'에서 오는 2050년이 되면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14세 이하의 아동인구를 추월하는 '인구의 대역전' 현상이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전 세계에 비상경계령을 발동했다.
우리나라도 '강 건너 불구경'할 처지가 아니다. 1970년 생산가능인구(15~64세) 17.5명이 65세 이상의 노인 1명을 부양하는 구조에서 2030년에는 2.8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는 구조로 바뀐다고 한다.
고령화는 핵무기, 테러, 지구온난화 등과 함께 불안한 미래의 시계 속을 같이 돌고 있다. 따라서 대변혁의 전조라고 할 수 있는 고령화 문제를 방치할 경우 정말 큰 코 다칠게 뻔한 데도 준비는 엿가락마냥 늘어지기만 한다. 그래서 우리나라 노인복지 정책은 '노인보다도 더 늙고 낡은 것'이라는 비아냥거림도 흘러나온다.
그러면 이에 대한 대책은 없는 것인가? 최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일자리를 늘리는 것이다. 정년퇴직에서 실질적인 노인 사이에 있는 시니어(Senior) 인력들을 활용하기 위한 사회적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일본의 경우 제3의 연령층(55~65)을 '신인류'로 규정하고, 그들의 당당한 삶을 위한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그 결과 1998년 이후 50세 이상 창업한 기업들이 전체 신설기업의 30%에 이르고 있다.
미국 노인청은 도시와 차별화된 노인복지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농촌지원센터를 운영, 농촌노인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취업프로그램인 '녹지관리 프로그램'을 따로 만들어 시행 중이다.
다시 한 번 강조하거니와 늦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적기임을 명심하고, 우리나라도 지금부터 차근차근 미래를 대비해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