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절한 치료 받지 않으면 75%가 악화…외직근 후전술·내직근 절제술로 교정

대부분의 간헐 외사시는 하루 중 피곤할 때나 멍하게 있을 때만 한 쪽 눈이 돌아나가는 간헐기를 거치다가 점차적으로 항상 눈이 나가있는 불변외사시의 형태로 나빠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75%가 더 나빠지는 형태로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외사시에 대해 아직 확실히 밝혀진 원인은 없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유전적인 원인과 그 외 다른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중 안와골의 이상, 교정되지 않는 근시 등의 굴절 이상, 눈을 움직이는 외안근의 이상, 미숙아나 약물에 의한 선천적 이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국내연구에서도 일란성 쌍둥이에서 71%가 같은 형태의 외사시가 나타난 연구 결과를 볼 때 유전적인 영향도 있다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61~70%가 여자에서 나타나고 우리나라와 같은 아시아, 중동지역 그리고 아프리카에서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인종적인 원인도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진단은 아주 간단합니다. 안과에서 숟가락처럼 생긴 가리개로 하는 교대가림검사라는 검사만으로 쉽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프리즘을 사용하여 외사시 각을 측정하여 얼마나 심하게 눈이 나가는지를 알아보게 됩니다.
간단한 검사로도 쉽게 진단이 되므로, 아이가 가끔 눈이 나가는 것을 느끼시거나 졸릴 때, 눈이 좀 이상하다, 또는 햇빛이나 불빛을 심하게 싫어한다고 생각이 되시면 안과에 방문하셔서 검사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치료에는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는데, 비수술적 치료는 한계가 있어서 어느 정도 이상의 외사시 각을 보인다면 결국, 수술로 치료할 수 밖에 없습니다.
수술 방법에는 주로 외사시가 눈이 바깥으로 나가므로, 밖을 보는 기능하는 외직근을 약화시키는 외직근 후전술을 주로 시행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안쪽을 보는 기능을 강화시키는 내직근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수술방법은 간헐 외사시의 유형이나 외사시각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외사시 각이 적은 경우에는 단안 외직근 후전술로, 외사시 각이 큰 경우는 양안 외직근 후전술로 수술 합니다. 가까운 거리를 쳐다 볼 때의 외사시 각이 먼거리 보다 큰 경우는 한 눈에 두 개의 외안근 수술을 할 수도 있습니다.
수술시기는 눈을 모으고 있는 능력이 떨어져 항상 외사시가 나타나는 경우가 아니라면 보통 만 4세 이후가 적절한 수술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술 자체는 그다지 어렵거나 위험한 것은 아니지만 적당한 시기에 수술 받는 것이 중요하며, 수술 후 약 30%에서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되겠습니다.
외사시를 예방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은 없습니다. 다만, 굴절이상이 있는 경우는 안경이 도움이 될 수 있고 일시적으로 외사시가 나빠지는 것을 막고 수술 시기를 늦추기 위하여 시행하는 좋은 눈가림 치료를 수술 전에 해볼 수는 있습니다만, 근본적인 예방법이 되지는 못합니다.
그러므로 예방보다는 의심스러울 때, 안과에 오셔서 검사를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