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건수 10% 불과…종묘방류 사업 '무용지물' 우려
최근 거제를 비롯해 남해안 권역에 종묘방류 사업이 잇따르고 있지만, 방류수역에서의 불법 포획이 기승을 부리면서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남도가 지난달 말 거제를 비롯한 남해안 권역 어업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인공어초사업(94.7%)과 수산종묘 방류사업(94.3%)이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응답자 중 73.7%가 종묘방류 수역에서 불법 포획이 이뤄지고 있다고 응답, 사후관리가 거의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동료 어민의 불법 포획 사실을 확인하고도 대부분(92.3%)의 어민이나 어촌계는 구두로 제지하고는 있지만, 이를 수산당국에 신고한 경우는 10.1%에 그쳤다.
이에 따라 종묘방류 수역에서의 불법 포획 방지를 위해 조업제한을 현행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73.6%)이 많았다.
종묘 방류가 이뤄진 뒤에는 상품성이 있을 만큼 자랄 때까지 방류수역의 불법 어획이나 방류종묘 포획이 우려되는 어망 사용 등을 금지하고 있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 결과 종묘방류 사업이 어업인의 소득증대에는 크게 기여(94.3%)하고 있지만, 해삼이나 전복 등 패류(27.6%) 보다 연안 정착성 어류(61.5%)를 중점적으로 방류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인공어초시설의 경우 역시 어업인의 소득증대에는 크게 기여(94.7%)하고 있지만, 새로운 수역으로의 시설확대가 필요(78%)하다고 답변했다.
저작권자 © 거제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