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시가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각종 돌발변수가 발목을 잡고 있다.
산림청과 시가 파악하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 감염 소나무는 지난달 현재 총 14만7,700여본.
이 가운데 3만4,200여본에 대한 방제작업은 완료됐고, 오는 4월30일까지 6만 여본을 더해 전체 감염 소나무의 64%인 9만4,000여본의 방제작업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잔여 소나무 5만2,000여본에 대해서는 5월부터 3차례에 걸쳐 항공방제 작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하지만 총 방제사업비 72억원 가운데 현재까지 확보된 사업비는 47억여원으로, 25억여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시에서는 국비 우선확보 등을 통해 사업비를 마련한다는 구상이지만, 여의치 않을 경우 방제단 작업 일정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 방제인력 부족 또한 행정의 시름거리다. 현재 방제작업에 동원되고 있는 방제단은 하루 250명. 그러나 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공무원 및 예찰방제단은 50명에 불과하고, 나머지 200명은 진주와 부산 등지의 산림사업법인체 직원으로 구성돼 있다.
시 관계자는 "거제지역의 경우 전문 방제작업을 할 수 있는 업체가 전무한 실정이어서 모두 타 지역에서 인력을 수급하고 있다"면서 "사업 복명서를 제출받아 1일 제거목수를 철저히 계산해 정산하고는 있지만 이들을 관리·감독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200명의 방제작업단이 4월말까지 예정된 물량을 다 소화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한편, 방제기간 동안 이들이 타 지역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훈증 처리된 소나무의 무단 해체와 이동도 골칫거리다. 기름값이 폭등하면서 일부 농가와 목욕탕 업자 등이 훈증처리 된 소나무를 땔감으로 사용하기 위해 무단으로 가져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 특히 임도가 잘 나있는 지역의 경우 차량 진입이 용이해 훈증처리 된 소나무의 무단방출이 잦은 편이다.
재선충병 소나무 무단 이동이 적발되면 1년 이하의 징역이나 1,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지지만, 야간을 틈타 이뤄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사실상 이를 막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여기에다 6개월 이상 된 훈증처리 소나무에 대해서는 이동 및 사용 등에 법률적인 제약이 없어 이를 악용하는 시민들까지 나오고 있다.
잦은 비 역시 방제사업 추진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방제작업의 특성상 비가 오는 날은 손을 놓고 있을 수 밖에 없어 행정에서도 매일같이 일기예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형편이다.
권태민 산림녹지과장은 "4월말까지 재선충 발생빈도가 낮은 지역부터 피해가 심한 지역으로 압축방제를 추진한다"면서 "이후 피해가 가장 심한 연초면 오비리·연사리·명동리, 하청면 일원은 6월까지 항공방제를 통해 솔수염하늘소 확산을 막을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