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어인'이 있다는 사실을 아십니까?
'귀어인'이 있다는 사실을 아십니까?
  • 김경옥 기자
  • 승인 2012.03.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거제시 귀어민 연평균 1명꼴…귀농지원 정책과 차별

▲ 귀농 인구에 비해 귀어 인구는 턱없이 적다. 일부에서는 지방자치단체들이 귀농에 적극적인 관심을 갖는 것에 비해 귀어민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도회지를 떠나 귀농·귀촌을 통해 인생 2모작을 설계하는 사람을 일컬어 귀농인이라한다.

그렇다면 귀어인은 이런 저런 이유로 도시생활을 접고 어촌으로 돌아와 어선업 및 양식업에 도전하는 사람일게다.

경남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직장생활을 접고 경남의 농촌지역에서 새로운 삶을 꿈꾸는 귀농인의 수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지난해에만 1,300여 가구가 귀촌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별로는 산청군이 141가구로 가장 많고, 하동군 140가구, 창녕군 128가구, 함양군 126가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도 관계자는 "귀농은 피폐해 지고 있는 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도는 지난해 귀농인 지원조례 제정에 이어 귀농 5개년 계획을 마련해 오는 2014년까지 3,500가구를 유치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귀어인의 규모는 어떨까.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2010년과 2011년 2년간 창업자금을 신청한 귀어인구는 전국에서 40명으로 집계됐다. 정책자금을 지원받지 않은 수를 합한다고 해도 두 자리 수는 넘지 못할 것으로 추정된다. 귀농인과 비교했을 때 증가추세인 것은 같지만 양적으로 큰 차이를 보인다.

거제시의 경우 지난해에는 귀어인 1명이 어선업을 위해 1억4,000만원을 지원받았고, 올해도 8명의 신청자 중 자격요건을 갖춘 사람은 1명뿐이다.

귀어가 부진한 것에 대해 일부에서는 도가 귀농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갖는 것에 비해 귀어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또 귀어를 하려다가도 마을 공동어장 양식어업 면허 및 허가를 갖고 있는 마을 어촌계의 '텃새'를 견뎌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에 대해 경남수산기술사업소 거제사무소 관계자는 "정부차원에서 귀어민에게 지원되는 어업창업 및 주택구입 지원은 귀농인과 동일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귀농인은 정년퇴직 후 귀농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개인 신용도가 높은데 비해 귀어인은 귀농에 비해 투자규모가 크기 때문에 대부분 금융기관 신용조회에서 자격요건 미달인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다.

새로운 일자리를 찾거나 웰빙 생활이 목적이든 간에 이미 귀농이나 귀어는 사회적 현상으로 자리잡고 있다.

거제시가 포스트 조선산업을 찾고 있다면 사면이 청정지역인 축복받은 바다와 공존하는 방법을 강구해야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