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가 가장 적합, 지역 정·재계 총망라한 유치위원회 구성 시급"
경남도가 지난해부터 추진해 온 (가칭)국제해양플랜트대학원대학교 설립이 속도를 내고 있다.
세계적 조선해양도시인 거제시가 이 대학원대학교를 유치해야 한다는 여론과 함께 유치위원회를 즉각 구성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도는 지난해 1,400억불이던 해양플랜트 시장이 2030년에는 5,000억 불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해양플랜트 설계 엔지니어링 분야 석ㆍ박사급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국제해양플랜트대학원대학교 설립을 지난해부터 추진해 왔다.
우리나라가 해양플랜트 건조ㆍ제작 분야에서 세계 1위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위험도 기반 기본설계 엔지니어링 등의 고부가가치 기술은 전적으로 선진국에 의존함에 따라 막대한 외화가 유출되고 있다는 것이 경남도의 설명이다.
또 기본설계 엔지니어링을 외국 업체가 도맡아 시행함에 따라 국산 기자재 사용기회가 원천적으로 배제되는 등 해양플랜트 기자재 산업 발전에도 가장 큰 장애요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해양플랜트 시장점유율의 확대에 따라 2030년까지 석ㆍ박사급 전문 인력 수요를 8,000여명 이상으로 전망하고 있는 도는 연간 국내 배출인력이 50명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도는 해양플랜트 관련 석ㆍ박사급 설계 엔지니어링 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국제 해양플랜트 대학원 대학교 설립을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이런 배경에는 우선 경남도의 조선ㆍ해양산업이 전국 대비 사업체수 52.2%(581개사), 종사자 수 50.1%(65,816명), 생산액 51.0%(330억불)를 차지하고 있고,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STX조선해양, 성동조선해양 등 세계 10대 조선소 중 4개가 위치하고 있는 세계 최대의 조선 해양플랜트 클러스터라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해양플랜트산업 클러스터 구축을 위해 거제에 해양플랜트 기자재 시험ㆍ인증센터를 설립하는 등 경남도내에 해양플랜트 관련 기반시설이 속속 갖춰지고 있는 것도 대학원대학교 설립 추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경남도는 국제 해양플랜트 대학원대학교 설립을 위해 교육과학기술부를 비롯한 정부 부처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설립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한편 경남도가 해양플랜트 대학원대학교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는 사실이 전해지면서 거제지역에서는 행정당국은 물론 정계와 재계가 즉시 거제유치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조선소 관계자는 "해양플랜트 관련 인력 양성은 물론 학술적 성과를 즉시 산업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거제가 대학원대학교 설립에 가장 적합한 곳"이라며 "거제시와 시의회는 물론 도의원, 국회의원, 삼성 및 대우조선, 상공회의소, 민간단체가 총 망라하는 유치위원회 구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