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백일 장군 동상을 세웠던 (사)흥남철수작전기념사업회가 거제시를 상대로 낸 '동상철거명령 및 철거 대집행 계고처분취소 소송'에 대해 법원이 지난 10일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
법원이 김백일 동상을 철거하지 말라고 판결하자 동상 철거를 추진해 온 범시민대책위는 동상 철거를 위한 1만인 서명운동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힌 대책위는
이번 소송이 행정절차에 대한 재판이었다며 물리력을 동원해서라도 철거운동을 벌이겠다고 한다. 동상 철거와 관련한 법원 판결에 대한 시민들의 반응은 어떨까.
통영시에서도 친일 행적이 있었던 동랑 유치진의 '흉상'철거를 놓고 특정단체 간 갈등과 반목이 있었다. 지루한 공방 끝에 결국 흉상은 철거됐다. 역사는 반드시 바로 잡아야 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특히 거제포로수용소 유적공원은 교육의 현장이기 때문은 많은 학생들이 찾는 장소다. 친일행적이 뚜렷해 인명사전에까지 등재된 인사의 동상이 산 교육장에 버티고 서 있다는 것은 언어도단이다. 바른 역사와 미래를 위해서라도 동상철거는 당연해 보인다. 조근수(44·통영시)
김백일 동상 철거 문제를 놓고 시민단체와 유족회가 싸울 때는 산 넘어 불구경 하듯이 지켜봤다. 그런데 무슨 무슨 소송에서 거제시가 졌다더라는 소식은 파급효과가 컸다. 따라서 이번 소송 결과로 인해 일반 시민들은 김백일 장군이 친일을 하지 않은 것으로 호도될 수 있다고 본다. 거제시의 안일한 대응이 이 같은 오해를 불러온 것으로 볼 수 있다. 김백일 장군이 친일인명사전에 까지 올라간 사람이라면, 이 사람의 동상이 포로수용소 유적공원에 서 있어서는 안 된다. 조인규(56·사등면)
김백일 동상 철거는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돼 있는 사람을 역사적 장소에 동상으로 설치해 둔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고 본다. 법적 또는 정치적인 이유로 동상 철거가 번거로울지는 모르지만 철거를 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상하다. 거제시 행정의 무관심으로 밖에 느껴지지 않는 것 같다. 박소영(16·능포동)
김백일 동상 철거문제의 원인 제공자가 거제시인 만큼 설치에 찬성했다면 철거에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본다. 친일파라는 정확한 규명이 있었다면 동상 철거에 충분한 명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 포로수용소 유적공원에서 다른 곳으로 옮기는 일도 재고돼야 할 것이다. 김진수(29·아주동)
법원의 판결이 났다고 하지만 거제시민들이 갖고 있는 김백일 동상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은 만큼 시민단체 등의 활동에 무게감을 실어주고 싶다. 역사적인 장소에 친일파라는 낙인이 찍힌 사람의 동상을 굳이 세워둘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굳이 동상을 세우고 싶다면 동상을 기증한 단체가 다른 역사적인 장소를 고른 뒤 거제시에서 이전 비용을 부담하면 될 것이다. 장지영(33·고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