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프로젝트 일방추진, 여론 '부글부글'
대형프로젝트 일방추진, 여론 '부글부글'
  • 박용택 기자
  • 승인 2012.05.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조선해양축제 등 '도마'…김백일 동상 패소에 연쇄반응

거제시가 지역 현안과 밀접한 각종 대형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시민여론 수렴 과정을 외면하고 있는 지적이다.

이같은 지적은 최근 김백일 동상 철거 행정소송에서 거제시가 패소한 것과 관련한 연쇄 반응으로, 시민단체는 물론 언론까지 나서 시의 일방적 행정을 꼬집고 나섰다.

시가 최근 추진했거나 추진하고 있는 프로젝트 중 2012거제세계해양조선축제, 세계조선해양엑스포 유치, 장승포 평화공원 조성 등 3가지가 도마에 올랐다.

먼저 세계해양엑스포 유치의 전초 성격을 띤 세계해양조선축제는 행사의 성공여부와는 별개로 말 많고 탈 많은 행사로 각인됐다.

우선 세계조선해양축제의 공동주관사인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의 적극적인 예산지원과 협조를 유도하는데 실패했다.

당초 이번 행사는 양대 조선사가 주요 행사 진행과 장소 제공을 도맡고 전체예산 42억4,800만원의 70%인 30억원을 부담키로 했다. 그러나 두 조선사는 각각 2억원을 지원했고 행사 또한 대폭 축소됐다.

이같은 결과에 대해 거제시와 행사추진위원회는 두 조선사의 비협조를 탓했지만, 시민들의 입장은 다르다. 시와 추진위가 시민들과 두 조선사의 충분한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고 무리하게 추진했다는 지적이다.

다음은 경남도가 거제시와 함께 적극 추진해 온 2014년 세계조선해양엑스포 개최다. 4,300억원의 생산유발과 7,500여명의 취업유발 효과를 안기는 이 엑스포 유치를 위해 시는 지난 3월 중순, 전략사업담당관실에 T/F팀까지 꾸렸다.

현재 지식경제부에 국제행사 승인을 신청해 놓은 이 행사는 그러나 국제행사로서의 내용과 양대 조선소의 미온적 태도 등으로 승인 자체가 불투명하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시민들은 결국 거제시가 각종 행사 개최에만 급급, 지역주민들의 여론수렴을 통한 합리적 개최 분위기와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한 결과라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시민단체 관계자 A씨는 "거제시가 특정사업을 하면서 타당성 용역을 의뢰하고 용역결과가 긍정적이면 모든 사업이 만사 오케이 식으로 진행됐다"면서 "공청회, 토론회, 여론조사 등 반드시 필요한 여론형성 과정을 무시했다"고 꼬집었다.

시민단체는 물론 지역 언론계에서도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경남도 모자이크 사업에 선정돼 시가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장승포 호국평화공원 조성사업'이다.

당초 흥남철수기념공원에서 명칭이 변경된 이 사업에는 무려 280억원(국비 50억, 도비 100억, 시비 130억)의 예산이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다.

권민호 거제시장은 이 사업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흥남철수작전에 쓰인 빅토리아 호 인수를 위해 지난 11일, 올 들어 두 번째 미국으로 향했다.

하지만 이 사업 추진 또한 시민 여론을 철저하게 외면했다는 지적이다. 엄청난 예산과 공을 들여 낡은 배를 인수한다고 해서 관광수익을 보장해 줄 것이라는 주장에는 회의적이라는 분위기다.

언론인 B씨는 먼저 김백일 동상과 관련해 "동상건립을 승인해 줄 때는 언제고 반대 여론이 거세지자 부랴부랴 문화재 보호법을 들이대며 철거하라고 한 것은 뒷북 행정의 전형"이라고 밝혔다.

이어 "김백일 동상이 시민들의 반대여론으로 철거된다고 하더라도 현재 조성중인 장승포 호국공원으로 옮기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한 것 아니냐"며 "이는 거제시가 이중 플레이를 펼치는 것으로 밖에 해석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언론인 C씨는 "거제시가 장승포호국공원 조성을 위해 인수코자 하는 빅토리아호는 흥남철수작전 당시 1만4,000여 명의 피난민을 싣고 장승포항에 입항한 '메르디스 빅토리호'가 아니다"면서 "보존과 복원이 다르듯, 사라지고 없는 것을 대신할 수 있는 것은 없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