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추진 중인 해양플랜트 대학원 대학교를 거제시에 유치해야 한다는 여론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가운데, 경남도의 안일한 자세가 '도마'위에 올랐다.
이길종 도의원은 지난 30일 열린 도의회 제296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국제 해양플랜트 대학원 대학교 설립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경남도의 '뒷북' 행정을 질타했다.
이 의원은 자유발언에서 "지식경제부가 해양플랜트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해양플랜트산업 발전방안'을 발표한 뒤, 지역의견 수렴과정도 없이 해양플랜트 인력양성 추진 지역으로 부산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부산시의 경우 한국해양대학교에 해양플랜트 석·박사 과정 설치 등을 건의해 청와대 및 지경부의 긍정적인 답변을 이끌어 낸 바 있다"면서 "부산시의 발 빠른 행보에 비해 경남도의 추진 속도를 비교해보면 뒷북만 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염려된다"고 덧붙였다.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등 세계 10대 조선소 중 4개가 경남에 위치하고 있다고 강조한 이 의원은 또 "조선해양산업 기자재 업체를 보면 울산 10%, 부산 35%에 비해 경남은 37%로 전국 최대 집적지"라며 경남 유치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나섰다.
특히 "거제시는 해양플랜트 대학원 대학교 설립을 위한 부지마련 등 구체적인 준비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조선소와 연계한 대학원 유치에 따른 조선해양 인프라 확충으로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란 지역민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고도 했다.
이 의원은 마지막으로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인력 육성 사업이 부산시와 상당 부분 겹치는 점이 있어 또다시 소모적인 지역 갈등을 초래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밝히고 협력과 경쟁을 통한 경남도의 합리적인 추진과 유치 노력을 촉구했다.
한편 지식경제부는 지난달 해양플랜트 산업의 클러스터 기반 조성 등을 골자로 하는 종합 육성방안을 내놓으면서 울산은 해양플랜트 건조 및 지원선(OSV), 부산은 기자재·R&D센터·인력양성, 경남은 건조·시험평가·지원선(OSV)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